일본 맥주회사가 ‘AI 상무님’ 모시는 이유는? [잇슈 머니]

입력 2025.08.15 (07:05) 수정 2025.08.15 (08:1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오늘은 두 번째 키워드도 인공지능으로 준비해 주셨는데, '인공지능 임원과 회의하는 맥주회사' 라고 하셨네요.

인공지능 임원이 정말 있나요?

[답변]

네, 이런 상황을 한번 가정해 볼까요.

"인공지능 상무님, 이쪽에 앉으세요. 임원 회의 처음이지요? 이번 안건은 이겁니다."

이건 웃자고 하는 얘기가 아니라 일본 맥주 회사 기린홀딩스가 실제 하고 있는 일입니다.

7월부터 기린홀딩스 경영전략 회의엔 인공지능으로 만든 가상 임원 '코어메이트'가 참석 중인데, 마케팅과 법무 등 12개 전문 분야에 인공지능 임원을 만들어 사장단 회의나 여러 임원 참석 회의를 함께하는 중입니다.

[앵커]

신기하기는 한데, 기술을 자랑하고 싶은 빅테크도 아니고 맥주 회사가 대체 왜 그럴까요?

[답변]

네, 바로 확증 편향의 오류에 빠지지 않기 위해섭니다.

우리도 그렇지만 전 세계적으로 뷰티와 헬스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청년층으로 갈수록 주류 소비량은 줄어드는 추세인데, 이런 상황에 대응하면서 정신없이 바뀌는 트렌드를 간파하려면 무엇보다 편견에 빠지지 말아야 한다는 게 기린홀딩스의 판단입니다.

사람은 관계나 상황에 따라 상대를 왜곡해 평가하거나 명백한 사실을 외면하기도 하는데, 인공지능은 그럴 일이 없다는 겁니다.

[앵커]

일견 타당한 구석이 있어 보이지만, 이 인공지능 상무님, 전문성을 갖추거나 조직의 분위기를 파악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지 않을까요?

[답변]

그게 그렇지가 않다고 합니다.

최근 10년 치 회의 내용을 이미 딥러닝 방식으로 모두 학습했고, 업계 안팎 최신 데이터는 사람보다 더 빨리 습득합니다.

그렇다 보니 회의에선 예상치 못한 반론이 나오거나 논리적 구멍이 없는 대안을 제시해 참석자들을 긴장시키기도 한다는데, 과연 인공지능 상무님, 사람이라 어렵던 이의 제기를 통해 획기적인 경영 전략 내놓을 수 있을지 지켜봐야겠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일본 맥주회사가 ‘AI 상무님’ 모시는 이유는? [잇슈 머니]
    • 입력 2025-08-15 07:05:01
    • 수정2025-08-15 08:14:39
    뉴스광장 1부
[앵커]

오늘은 두 번째 키워드도 인공지능으로 준비해 주셨는데, '인공지능 임원과 회의하는 맥주회사' 라고 하셨네요.

인공지능 임원이 정말 있나요?

[답변]

네, 이런 상황을 한번 가정해 볼까요.

"인공지능 상무님, 이쪽에 앉으세요. 임원 회의 처음이지요? 이번 안건은 이겁니다."

이건 웃자고 하는 얘기가 아니라 일본 맥주 회사 기린홀딩스가 실제 하고 있는 일입니다.

7월부터 기린홀딩스 경영전략 회의엔 인공지능으로 만든 가상 임원 '코어메이트'가 참석 중인데, 마케팅과 법무 등 12개 전문 분야에 인공지능 임원을 만들어 사장단 회의나 여러 임원 참석 회의를 함께하는 중입니다.

[앵커]

신기하기는 한데, 기술을 자랑하고 싶은 빅테크도 아니고 맥주 회사가 대체 왜 그럴까요?

[답변]

네, 바로 확증 편향의 오류에 빠지지 않기 위해섭니다.

우리도 그렇지만 전 세계적으로 뷰티와 헬스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청년층으로 갈수록 주류 소비량은 줄어드는 추세인데, 이런 상황에 대응하면서 정신없이 바뀌는 트렌드를 간파하려면 무엇보다 편견에 빠지지 말아야 한다는 게 기린홀딩스의 판단입니다.

사람은 관계나 상황에 따라 상대를 왜곡해 평가하거나 명백한 사실을 외면하기도 하는데, 인공지능은 그럴 일이 없다는 겁니다.

[앵커]

일견 타당한 구석이 있어 보이지만, 이 인공지능 상무님, 전문성을 갖추거나 조직의 분위기를 파악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지 않을까요?

[답변]

그게 그렇지가 않다고 합니다.

최근 10년 치 회의 내용을 이미 딥러닝 방식으로 모두 학습했고, 업계 안팎 최신 데이터는 사람보다 더 빨리 습득합니다.

그렇다 보니 회의에선 예상치 못한 반론이 나오거나 논리적 구멍이 없는 대안을 제시해 참석자들을 긴장시키기도 한다는데, 과연 인공지능 상무님, 사람이라 어렵던 이의 제기를 통해 획기적인 경영 전략 내놓을 수 있을지 지켜봐야겠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