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협상단, 곧 트럼프 면담…트럼프 “관세인하 위한 제안 청취”

입력 2025.07.31 (05:40) 수정 2025.07.31 (05:4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국을 방문 중인 한국 무역협상 대표단이 곧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면담합니다.

한국 무역협상 대표단은 현지시각 오후 4시 반쯤 트럼프 대통령을 면담하기 위해 백악관에 도착했습니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30일(현지시간) 중으로 한국의 무역 협상 대표단과 만나 관세 인하를 위한 한국 측 제안을 듣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내달 1일 미국의 국가별 상호관세 발효를 이틀 앞두고 한미간 관세 협상은 중대 고비를 맞게 됐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에서 "오늘 오후에 한국 무역 대표단과 만날 것"이라며 "한국은 현재 25%의 관세(상호관세)가 책정돼 있지만 그들은 그 관세를 인하하기 위한 제안을 가지고 왔다"며 "나는 그 제안이 무엇인지 듣는 데 관심이 있다"고 밝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인하를 위한 제안'을 'offer to buy down'으로 표현했는데, 무역 협상에서 관세에 대한 'buy down'은 무역의 일방이 상대국이 책정한 관세를 낮추기 위해 양보를 하거나 그 나라에 대한 투자를 하는 것 등을 의미합니다.

현재 워싱턴에서는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 등이 미국측과 협상을 진행해왔습니다.

이에 앞서 구 부총리 등 3명은 이날도 상무부 청사에서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 등과 협상을 진행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내달 1일부터 국가별 상호관세를 부과겠다고 이날 재확인했기에 31일까지 합의점을 찾지 못하면 한국의 대다수 대미 수출 상품(철강·알루미늄·자동차 등은 상호관세가 아닌 품목별 관세 적용)에는 25%의 상호관세가 부과됩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한국에 앞서 일본, 유럽연합(EU) 등과 무역 합의를 하면서 상호관세 세율을 15%로 낮춰주는 한편 농산물 등의 시장 개방 확대와 대규모 대미 투자 펀드 조성 등을 얻어냈습니다.

대미투자펀드 규모를 놓고 한미간에 조율이 이뤄지고 있는 상황에서 조선 분야 한미 협력 카드를 꺼낸 한국 측의 승부수가 통할지 관심을 모읍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한국 협상단, 곧 트럼프 면담…트럼프 “관세인하 위한 제안 청취”
    • 입력 2025-07-31 05:40:25
    • 수정2025-07-31 05:46:36
    국제
미국을 방문 중인 한국 무역협상 대표단이 곧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면담합니다.

한국 무역협상 대표단은 현지시각 오후 4시 반쯤 트럼프 대통령을 면담하기 위해 백악관에 도착했습니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30일(현지시간) 중으로 한국의 무역 협상 대표단과 만나 관세 인하를 위한 한국 측 제안을 듣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내달 1일 미국의 국가별 상호관세 발효를 이틀 앞두고 한미간 관세 협상은 중대 고비를 맞게 됐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에서 "오늘 오후에 한국 무역 대표단과 만날 것"이라며 "한국은 현재 25%의 관세(상호관세)가 책정돼 있지만 그들은 그 관세를 인하하기 위한 제안을 가지고 왔다"며 "나는 그 제안이 무엇인지 듣는 데 관심이 있다"고 밝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인하를 위한 제안'을 'offer to buy down'으로 표현했는데, 무역 협상에서 관세에 대한 'buy down'은 무역의 일방이 상대국이 책정한 관세를 낮추기 위해 양보를 하거나 그 나라에 대한 투자를 하는 것 등을 의미합니다.

현재 워싱턴에서는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 등이 미국측과 협상을 진행해왔습니다.

이에 앞서 구 부총리 등 3명은 이날도 상무부 청사에서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 등과 협상을 진행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내달 1일부터 국가별 상호관세를 부과겠다고 이날 재확인했기에 31일까지 합의점을 찾지 못하면 한국의 대다수 대미 수출 상품(철강·알루미늄·자동차 등은 상호관세가 아닌 품목별 관세 적용)에는 25%의 상호관세가 부과됩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한국에 앞서 일본, 유럽연합(EU) 등과 무역 합의를 하면서 상호관세 세율을 15%로 낮춰주는 한편 농산물 등의 시장 개방 확대와 대규모 대미 투자 펀드 조성 등을 얻어냈습니다.

대미투자펀드 규모를 놓고 한미간에 조율이 이뤄지고 있는 상황에서 조선 분야 한미 협력 카드를 꺼낸 한국 측의 승부수가 통할지 관심을 모읍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