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단 없앤 첫 기자회견…타운홀 미팅 형식 진행
입력 2025.07.03 (19:04)
수정 2025.07.03 (19:5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 대통령의 첫 기자회견은 예정 시간보다 더 길어져 2시간 가까이 진행됐습니다.
대통령을 중심으로 기자들이 둘러앉는 타운홀 미팅 형태로 자리를 배치했고, 연단을 없애 눈높이도 맞췄습니다.
손서영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대통령의 30일, 언론이 묻고 국민에게 답하다'라는 제목으로 시작된 기자회견.
예정보다 길어지며 2시간을 넘겼습니다.
회견에는 국내 언론 119곳과 외신 28곳이 참여했습니다.
[이재명 대통령 : "가능하면 우리 국민 모두에게 공통으로 관여되는 이야기 중심으로 이야기를 좀 했으면 좋겠습니다."]
좌석은 대통령을 중심으로 기자들이 반원 형태로 둘러앉는 '타운홀 미팅' 형식으로 배치됐습니다.
탈권위적인 공간 배치를 통해 대통령과 기자들의 거리를 최대한 좁히려 했다는 설명입니다.
실제 이 대통령과 가장 앞에 앉은 기자단 좌석의 거리는 1.5미터가량이었습니다.
일부 질문자를 추첨하는 방식도 이번에 새롭게 도입됐습니다.
출입기자 간사단이 분야별로 주제가 적힌 상자에 담긴 기자들의 명함을 뽑으면 그 사람이 대통령에게 질문하는 겁니다.
[강유정/대통령실 대변인 : "제가 명함에 계신 분을 호명하겠습니다."]
[이재명 대통령 : "주택 추첨하는 것도 아니고."]
대통령실 출입기자가 아닌 지역의 풀뿌리 언론인들도 원격으로 참여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외신 2곳을 포함해 모두 15곳의 매체 기자로부터 질문을 받았고, 이 가운데 지역지는 4곳이었습니다.
대통령실은 이번 기자회견의 기획 의도는 '가깝게, 폭넓게, 새롭게'라며, 지금까지 이 대통령이 가장 많이 말해온 내용들을 중심으로 정했다고 설명했습니다.
KBS 뉴스 손서영입니다.
촬영기자:이영재 김한빈/영상편집:이윤진
이 대통령의 첫 기자회견은 예정 시간보다 더 길어져 2시간 가까이 진행됐습니다.
대통령을 중심으로 기자들이 둘러앉는 타운홀 미팅 형태로 자리를 배치했고, 연단을 없애 눈높이도 맞췄습니다.
손서영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대통령의 30일, 언론이 묻고 국민에게 답하다'라는 제목으로 시작된 기자회견.
예정보다 길어지며 2시간을 넘겼습니다.
회견에는 국내 언론 119곳과 외신 28곳이 참여했습니다.
[이재명 대통령 : "가능하면 우리 국민 모두에게 공통으로 관여되는 이야기 중심으로 이야기를 좀 했으면 좋겠습니다."]
좌석은 대통령을 중심으로 기자들이 반원 형태로 둘러앉는 '타운홀 미팅' 형식으로 배치됐습니다.
탈권위적인 공간 배치를 통해 대통령과 기자들의 거리를 최대한 좁히려 했다는 설명입니다.
실제 이 대통령과 가장 앞에 앉은 기자단 좌석의 거리는 1.5미터가량이었습니다.
일부 질문자를 추첨하는 방식도 이번에 새롭게 도입됐습니다.
출입기자 간사단이 분야별로 주제가 적힌 상자에 담긴 기자들의 명함을 뽑으면 그 사람이 대통령에게 질문하는 겁니다.
[강유정/대통령실 대변인 : "제가 명함에 계신 분을 호명하겠습니다."]
[이재명 대통령 : "주택 추첨하는 것도 아니고."]
대통령실 출입기자가 아닌 지역의 풀뿌리 언론인들도 원격으로 참여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외신 2곳을 포함해 모두 15곳의 매체 기자로부터 질문을 받았고, 이 가운데 지역지는 4곳이었습니다.
대통령실은 이번 기자회견의 기획 의도는 '가깝게, 폭넓게, 새롭게'라며, 지금까지 이 대통령이 가장 많이 말해온 내용들을 중심으로 정했다고 설명했습니다.
KBS 뉴스 손서영입니다.
촬영기자:이영재 김한빈/영상편집:이윤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연단 없앤 첫 기자회견…타운홀 미팅 형식 진행
-
- 입력 2025-07-03 19:04:13
- 수정2025-07-03 19:51:42

[앵커]
이 대통령의 첫 기자회견은 예정 시간보다 더 길어져 2시간 가까이 진행됐습니다.
대통령을 중심으로 기자들이 둘러앉는 타운홀 미팅 형태로 자리를 배치했고, 연단을 없애 눈높이도 맞췄습니다.
손서영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대통령의 30일, 언론이 묻고 국민에게 답하다'라는 제목으로 시작된 기자회견.
예정보다 길어지며 2시간을 넘겼습니다.
회견에는 국내 언론 119곳과 외신 28곳이 참여했습니다.
[이재명 대통령 : "가능하면 우리 국민 모두에게 공통으로 관여되는 이야기 중심으로 이야기를 좀 했으면 좋겠습니다."]
좌석은 대통령을 중심으로 기자들이 반원 형태로 둘러앉는 '타운홀 미팅' 형식으로 배치됐습니다.
탈권위적인 공간 배치를 통해 대통령과 기자들의 거리를 최대한 좁히려 했다는 설명입니다.
실제 이 대통령과 가장 앞에 앉은 기자단 좌석의 거리는 1.5미터가량이었습니다.
일부 질문자를 추첨하는 방식도 이번에 새롭게 도입됐습니다.
출입기자 간사단이 분야별로 주제가 적힌 상자에 담긴 기자들의 명함을 뽑으면 그 사람이 대통령에게 질문하는 겁니다.
[강유정/대통령실 대변인 : "제가 명함에 계신 분을 호명하겠습니다."]
[이재명 대통령 : "주택 추첨하는 것도 아니고."]
대통령실 출입기자가 아닌 지역의 풀뿌리 언론인들도 원격으로 참여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외신 2곳을 포함해 모두 15곳의 매체 기자로부터 질문을 받았고, 이 가운데 지역지는 4곳이었습니다.
대통령실은 이번 기자회견의 기획 의도는 '가깝게, 폭넓게, 새롭게'라며, 지금까지 이 대통령이 가장 많이 말해온 내용들을 중심으로 정했다고 설명했습니다.
KBS 뉴스 손서영입니다.
촬영기자:이영재 김한빈/영상편집:이윤진
이 대통령의 첫 기자회견은 예정 시간보다 더 길어져 2시간 가까이 진행됐습니다.
대통령을 중심으로 기자들이 둘러앉는 타운홀 미팅 형태로 자리를 배치했고, 연단을 없애 눈높이도 맞췄습니다.
손서영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대통령의 30일, 언론이 묻고 국민에게 답하다'라는 제목으로 시작된 기자회견.
예정보다 길어지며 2시간을 넘겼습니다.
회견에는 국내 언론 119곳과 외신 28곳이 참여했습니다.
[이재명 대통령 : "가능하면 우리 국민 모두에게 공통으로 관여되는 이야기 중심으로 이야기를 좀 했으면 좋겠습니다."]
좌석은 대통령을 중심으로 기자들이 반원 형태로 둘러앉는 '타운홀 미팅' 형식으로 배치됐습니다.
탈권위적인 공간 배치를 통해 대통령과 기자들의 거리를 최대한 좁히려 했다는 설명입니다.
실제 이 대통령과 가장 앞에 앉은 기자단 좌석의 거리는 1.5미터가량이었습니다.
일부 질문자를 추첨하는 방식도 이번에 새롭게 도입됐습니다.
출입기자 간사단이 분야별로 주제가 적힌 상자에 담긴 기자들의 명함을 뽑으면 그 사람이 대통령에게 질문하는 겁니다.
[강유정/대통령실 대변인 : "제가 명함에 계신 분을 호명하겠습니다."]
[이재명 대통령 : "주택 추첨하는 것도 아니고."]
대통령실 출입기자가 아닌 지역의 풀뿌리 언론인들도 원격으로 참여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외신 2곳을 포함해 모두 15곳의 매체 기자로부터 질문을 받았고, 이 가운데 지역지는 4곳이었습니다.
대통령실은 이번 기자회견의 기획 의도는 '가깝게, 폭넓게, 새롭게'라며, 지금까지 이 대통령이 가장 많이 말해온 내용들을 중심으로 정했다고 설명했습니다.
KBS 뉴스 손서영입니다.
촬영기자:이영재 김한빈/영상편집:이윤진
-
-
손서영 기자 bellesy@kbs.co.kr
손서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