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은 반미 결속 위해 동남아로…희토류 공급 차질 우려
입력 2025.04.14 (21:34)
수정 2025.04.14 (22:0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미국과 정면 대결하기로 선택한 중국의 시진핑 주석은 반미 전선을 만드는데 공을 들이고 있습니다.
미국의 상호 관세 표적이 된 동남아 국가들을 직접 찾아갑니다.
베이징 김민정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리포트]
중국의 타이어 업체가 미국발 관세를 피하기 위해 캄보디아에 세운 공장입니다.
트럼프 1기 때 무역전쟁 이후 이렇게 관세를 피하기 위해 동남아시아로 생산기지를 옮기는 중국 기업들이 늘어났습니다.
하지만, 동남아시아 국가들은 중국 제품을 표시만 바꿔 우회 수출하는 경로로까지 찍혀, 트럼프 발 초고율 관세의 표적이 됐습니다.
시진핑 주석이 베트남을 시작으로 동남아 순방길에 오른 건, 이들과 함께 반미 결속을 다지려는 움직임으로 해석됩니다.
[린젠/중국 외교부 대변인/지난 11일 : "아세안과의 중국 관계의 발전을 전반적으로 촉진하고 지역과 세계 평화와 안정에 새로운 계기를 불어넣는 데 중요한 의미가 있습니다."]
시 주석은 베트남 매체에 기고문을 보내 두 나라가 운명 공동체임을 강조하기도 했습니다.
베트남을 포함해 동남아시아 국가들은 중국에게 관세를 피하는 대미 수출 우회로이면서 중국산 상품을 대거 수입하는 대체 시장이기도 합니다.
[뤼다량/중국 해관총서 대변인 : "중국 수출이 현재 복잡하고 엄중한 외부 상황에 직면해 있긴 하지만 하늘이 무너지지는 않습니다."]
중국이 미국 압박 카드로 동원한 희토류 수출 통제 조치도, 효과를 내고 있습니다.
중국은 다양한 산업에서 필수적인 주요 중희토류의 99%를 공급합니다.
미국 산업계의 비축량도 많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중국이 미국의 아킬레스건을 겨냥한 것으로 평가됩니다.
베이징에서 KBS 뉴스 김민정입니다.
촬영기자:안용습/영상편집:사명환/영상출처:유튜브(@Cambodia Economic 뉴스)/자료조사:이수아
미국과 정면 대결하기로 선택한 중국의 시진핑 주석은 반미 전선을 만드는데 공을 들이고 있습니다.
미국의 상호 관세 표적이 된 동남아 국가들을 직접 찾아갑니다.
베이징 김민정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리포트]
중국의 타이어 업체가 미국발 관세를 피하기 위해 캄보디아에 세운 공장입니다.
트럼프 1기 때 무역전쟁 이후 이렇게 관세를 피하기 위해 동남아시아로 생산기지를 옮기는 중국 기업들이 늘어났습니다.
하지만, 동남아시아 국가들은 중국 제품을 표시만 바꿔 우회 수출하는 경로로까지 찍혀, 트럼프 발 초고율 관세의 표적이 됐습니다.
시진핑 주석이 베트남을 시작으로 동남아 순방길에 오른 건, 이들과 함께 반미 결속을 다지려는 움직임으로 해석됩니다.
[린젠/중국 외교부 대변인/지난 11일 : "아세안과의 중국 관계의 발전을 전반적으로 촉진하고 지역과 세계 평화와 안정에 새로운 계기를 불어넣는 데 중요한 의미가 있습니다."]
시 주석은 베트남 매체에 기고문을 보내 두 나라가 운명 공동체임을 강조하기도 했습니다.
베트남을 포함해 동남아시아 국가들은 중국에게 관세를 피하는 대미 수출 우회로이면서 중국산 상품을 대거 수입하는 대체 시장이기도 합니다.
[뤼다량/중국 해관총서 대변인 : "중국 수출이 현재 복잡하고 엄중한 외부 상황에 직면해 있긴 하지만 하늘이 무너지지는 않습니다."]
중국이 미국 압박 카드로 동원한 희토류 수출 통제 조치도, 효과를 내고 있습니다.
중국은 다양한 산업에서 필수적인 주요 중희토류의 99%를 공급합니다.
미국 산업계의 비축량도 많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중국이 미국의 아킬레스건을 겨냥한 것으로 평가됩니다.
베이징에서 KBS 뉴스 김민정입니다.
촬영기자:안용습/영상편집:사명환/영상출처:유튜브(@Cambodia Economic 뉴스)/자료조사:이수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시진핑은 반미 결속 위해 동남아로…희토류 공급 차질 우려
-
- 입력 2025-04-14 21:34:29
- 수정2025-04-14 22:03:45

[앵커]
미국과 정면 대결하기로 선택한 중국의 시진핑 주석은 반미 전선을 만드는데 공을 들이고 있습니다.
미국의 상호 관세 표적이 된 동남아 국가들을 직접 찾아갑니다.
베이징 김민정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리포트]
중국의 타이어 업체가 미국발 관세를 피하기 위해 캄보디아에 세운 공장입니다.
트럼프 1기 때 무역전쟁 이후 이렇게 관세를 피하기 위해 동남아시아로 생산기지를 옮기는 중국 기업들이 늘어났습니다.
하지만, 동남아시아 국가들은 중국 제품을 표시만 바꿔 우회 수출하는 경로로까지 찍혀, 트럼프 발 초고율 관세의 표적이 됐습니다.
시진핑 주석이 베트남을 시작으로 동남아 순방길에 오른 건, 이들과 함께 반미 결속을 다지려는 움직임으로 해석됩니다.
[린젠/중국 외교부 대변인/지난 11일 : "아세안과의 중국 관계의 발전을 전반적으로 촉진하고 지역과 세계 평화와 안정에 새로운 계기를 불어넣는 데 중요한 의미가 있습니다."]
시 주석은 베트남 매체에 기고문을 보내 두 나라가 운명 공동체임을 강조하기도 했습니다.
베트남을 포함해 동남아시아 국가들은 중국에게 관세를 피하는 대미 수출 우회로이면서 중국산 상품을 대거 수입하는 대체 시장이기도 합니다.
[뤼다량/중국 해관총서 대변인 : "중국 수출이 현재 복잡하고 엄중한 외부 상황에 직면해 있긴 하지만 하늘이 무너지지는 않습니다."]
중국이 미국 압박 카드로 동원한 희토류 수출 통제 조치도, 효과를 내고 있습니다.
중국은 다양한 산업에서 필수적인 주요 중희토류의 99%를 공급합니다.
미국 산업계의 비축량도 많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중국이 미국의 아킬레스건을 겨냥한 것으로 평가됩니다.
베이징에서 KBS 뉴스 김민정입니다.
촬영기자:안용습/영상편집:사명환/영상출처:유튜브(@Cambodia Economic 뉴스)/자료조사:이수아
미국과 정면 대결하기로 선택한 중국의 시진핑 주석은 반미 전선을 만드는데 공을 들이고 있습니다.
미국의 상호 관세 표적이 된 동남아 국가들을 직접 찾아갑니다.
베이징 김민정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리포트]
중국의 타이어 업체가 미국발 관세를 피하기 위해 캄보디아에 세운 공장입니다.
트럼프 1기 때 무역전쟁 이후 이렇게 관세를 피하기 위해 동남아시아로 생산기지를 옮기는 중국 기업들이 늘어났습니다.
하지만, 동남아시아 국가들은 중국 제품을 표시만 바꿔 우회 수출하는 경로로까지 찍혀, 트럼프 발 초고율 관세의 표적이 됐습니다.
시진핑 주석이 베트남을 시작으로 동남아 순방길에 오른 건, 이들과 함께 반미 결속을 다지려는 움직임으로 해석됩니다.
[린젠/중국 외교부 대변인/지난 11일 : "아세안과의 중국 관계의 발전을 전반적으로 촉진하고 지역과 세계 평화와 안정에 새로운 계기를 불어넣는 데 중요한 의미가 있습니다."]
시 주석은 베트남 매체에 기고문을 보내 두 나라가 운명 공동체임을 강조하기도 했습니다.
베트남을 포함해 동남아시아 국가들은 중국에게 관세를 피하는 대미 수출 우회로이면서 중국산 상품을 대거 수입하는 대체 시장이기도 합니다.
[뤼다량/중국 해관총서 대변인 : "중국 수출이 현재 복잡하고 엄중한 외부 상황에 직면해 있긴 하지만 하늘이 무너지지는 않습니다."]
중국이 미국 압박 카드로 동원한 희토류 수출 통제 조치도, 효과를 내고 있습니다.
중국은 다양한 산업에서 필수적인 주요 중희토류의 99%를 공급합니다.
미국 산업계의 비축량도 많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중국이 미국의 아킬레스건을 겨냥한 것으로 평가됩니다.
베이징에서 KBS 뉴스 김민정입니다.
촬영기자:안용습/영상편집:사명환/영상출처:유튜브(@Cambodia Economic 뉴스)/자료조사:이수아
-
-
김민정 기자 mjnews@kbs.co.kr
김민정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트럼프발 ‘관세 전쟁’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