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선트, 한일 등 동맹과 ‘중국 포위’ 구상…변수는 트럼프”

입력 2025.04.13 (14:59) 수정 2025.04.13 (15:3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최근 관세정책 수위 조절에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이 역할을 했다는 관측이 나오는 가운데 베선트 장관이 한국·일본 등 동맹들과 협력해 중국 포위에 나설 가능성이 거론됩니다.

블룸버그통신은 현지 시각 12일 뉴스레터를 통해 “베선트 장관은 중국에 대한 ‘큰 포위’ 계획을 갖고 있다”면서 이같이 평가했습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베선트 장관은 지난 9일 미국은행연합회(ABA) 행사에서 관세 협상과 관련해 “우리는 아마 동맹들과 합의에 도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그들은 좋은 군사동맹이었지만 완벽한 경제동맹은 아니었다. 그러고 나서 우리는 단체로 중국에 접근할 수 있다”라고 했습니다.

베선트 장관은 폭스비즈니스 인터뷰에서도 일본, 한국, 인도, 베트남 등 중국 주변의 여러 국가가 미국에 보복하는 대신 협상하려고 한다면서 “모두가 협상 테이블로 오고 있으며 중국은 기본적으로 포위됐다”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이러한 발언은 이달 2일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 관세 발표 이후 각국의 반발이 커지고 중국이 이를 활용해 영향력 확대에 나서는 가운데 나온 것입니다.

한중일 경제통상장관은 지난달 30일 5년여 만에 3국 통상장관 회의를 개최했고, 이 자리에서 포괄적이고 높은 수준의 한중일 자유무역협정(FTA) 추진을 위해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습니다.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은 또 14∼18일 베트남·말레이시아·캄보디아 등 동남아시아 3국을 방문할 예정입니다.

앞서 베선트 장관은 북미·유럽에 대해서도 대중국 공동 대응을 강조한 바 있습니다.

그는 지난 2월 멕시코·캐나다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공세 당시 3국이 만든 ‘북미 요새’가 중국산 유입을 막는 공동 방어막이 되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또 최근 유럽연합(EU)이 중국을 중시해야 한다는 페드로 산체스 스페인 총리의 발언과 관련해 “그건 자기 목을 스스로 베는 것이 될 것”이라고 경고하기도 했습니다.

블룸버그는 베선트 장관의 계획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마셜플랜과도 맥이 닿아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마셜플랜은 구소련에 맞서 서유럽의 공산화를 막기 위한 측면이 있었습니다.

다만 블룸버그는 베선트 장관의 이러한 계획에 가장 큰 장애물은 다름 아닌 트럼프 대통령이 될 가능성이 있다고 봤습니다.

버락 오바마 행정부 당시 미국은 환태평양 국가가 중국의 영향권에 들어가는 것을 막고 미국과의 관계를 강화하도록 하기 위해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을 주도했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집권 1기였던 2017년 취임 직후 탈퇴한 바 있습니다.

미국 우선주의를 내세우는 트럼프 대통령은 동맹이 미국을 이용해 왔다는 인식을 드러내 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베선트 장관의 계획을 지지한다는 신호가 없을 뿐만 아니라, 다른 경제 참모인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과 피터 나바로 백악관 고문도 옹호 입장이 아니라고 블룸버그는 덧붙였습니다.

[사진 출처 : AP=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베선트, 한일 등 동맹과 ‘중국 포위’ 구상…변수는 트럼프”
    • 입력 2025-04-13 14:59:29
    • 수정2025-04-13 15:36:26
    국제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최근 관세정책 수위 조절에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이 역할을 했다는 관측이 나오는 가운데 베선트 장관이 한국·일본 등 동맹들과 협력해 중국 포위에 나설 가능성이 거론됩니다.

블룸버그통신은 현지 시각 12일 뉴스레터를 통해 “베선트 장관은 중국에 대한 ‘큰 포위’ 계획을 갖고 있다”면서 이같이 평가했습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베선트 장관은 지난 9일 미국은행연합회(ABA) 행사에서 관세 협상과 관련해 “우리는 아마 동맹들과 합의에 도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그들은 좋은 군사동맹이었지만 완벽한 경제동맹은 아니었다. 그러고 나서 우리는 단체로 중국에 접근할 수 있다”라고 했습니다.

베선트 장관은 폭스비즈니스 인터뷰에서도 일본, 한국, 인도, 베트남 등 중국 주변의 여러 국가가 미국에 보복하는 대신 협상하려고 한다면서 “모두가 협상 테이블로 오고 있으며 중국은 기본적으로 포위됐다”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이러한 발언은 이달 2일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 관세 발표 이후 각국의 반발이 커지고 중국이 이를 활용해 영향력 확대에 나서는 가운데 나온 것입니다.

한중일 경제통상장관은 지난달 30일 5년여 만에 3국 통상장관 회의를 개최했고, 이 자리에서 포괄적이고 높은 수준의 한중일 자유무역협정(FTA) 추진을 위해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습니다.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은 또 14∼18일 베트남·말레이시아·캄보디아 등 동남아시아 3국을 방문할 예정입니다.

앞서 베선트 장관은 북미·유럽에 대해서도 대중국 공동 대응을 강조한 바 있습니다.

그는 지난 2월 멕시코·캐나다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공세 당시 3국이 만든 ‘북미 요새’가 중국산 유입을 막는 공동 방어막이 되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또 최근 유럽연합(EU)이 중국을 중시해야 한다는 페드로 산체스 스페인 총리의 발언과 관련해 “그건 자기 목을 스스로 베는 것이 될 것”이라고 경고하기도 했습니다.

블룸버그는 베선트 장관의 계획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마셜플랜과도 맥이 닿아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마셜플랜은 구소련에 맞서 서유럽의 공산화를 막기 위한 측면이 있었습니다.

다만 블룸버그는 베선트 장관의 이러한 계획에 가장 큰 장애물은 다름 아닌 트럼프 대통령이 될 가능성이 있다고 봤습니다.

버락 오바마 행정부 당시 미국은 환태평양 국가가 중국의 영향권에 들어가는 것을 막고 미국과의 관계를 강화하도록 하기 위해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을 주도했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집권 1기였던 2017년 취임 직후 탈퇴한 바 있습니다.

미국 우선주의를 내세우는 트럼프 대통령은 동맹이 미국을 이용해 왔다는 인식을 드러내 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베선트 장관의 계획을 지지한다는 신호가 없을 뿐만 아니라, 다른 경제 참모인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과 피터 나바로 백악관 고문도 옹호 입장이 아니라고 블룸버그는 덧붙였습니다.

[사진 출처 : AP=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