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 심판 6차 변론 종료…이 시각 헌재
입력 2025.02.06 (19:01)
수정 2025.02.06 (19:4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6차 변론기일이 오늘 진행됐습니다.
이번 변론에서는 비상 계엄 당시, 국회에 병력을 투입한 특전사 지휘관들과 박춘섭 대통령실 경제수석이 증인으로 출석했습니다.
사회부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정해주 기자!
재판은 종료됐나요?
[기자]
오늘 오전 10시부터 시작된 재판은 8시간 동안 진행된 뒤 오후 6시쯤 모두 마무리됐습니다.
마지막으로 증언대에 선 박춘섭 대통령실 경제수석에게는 국회에서 예산이 삭감된 과정 등에 대한 질의가 집중됐습니다.
박 수석은 이어지는 줄탄핵과 일방적인 입법, 예산 삭감 등이 비상계엄의 원인이라고 말하는 등 거대 야당의 예산 삭감이 비상계엄의 배경이라고 주장한 윤석열 대통령 측의 의견과 비슷한 입장을 밝혔습니다.
[앵커]
당초 오늘 변론 기일을 두고는 곽종근 전 특수전사령관의 증언에 관심이 쏠렸었죠.
어떤 내용들이 나왔습니까?
[기자]
곽종근 전 육군 특수전사령관은 윤 대통령 측과 상반되는 증언을 했습니다.
곽 전 사령관은 "윤 대통령이 끌어내라고 한 건 국회의원"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또, "윤 대통령이 아직 의결정족수가 채워지지 않은 것 같다"며 "빨리 국회 문을 부수고 들어가 안에 있는 인원들을 밖으로 끄집어내라"고 지시했다고 말했습니다.
윤 대통령 측과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측이 "빼내라고 한 것은 요원"이라고 주장한 것에 대해서도 "당시 본관 내부에 작전 요원이 없었기 때문에 당연히 의원이라고 생각했다"고 반박했습니다.
곽 전 사령관은 국회의 비상계엄 해제 의결 후에도 철수 지시가 없어, 먼저 철수하겠다고 보고했다는 점도 밝혔습니다.
곽 전 사령관의 주장에 대해 윤석열 대통령은 증인 신문 이후 발언 기회를 얻어 반박했습니다.
특히, 윤 대통령은 "다짜고짜 의원을 끌어내라고 지시하는 것은 상식적으로 맞지 않다"며 "홍장원 전 국정원 1차장과 곽종근 전 사령관 때문에 탄핵 공작이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했습니다.
지금까지 사회부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6차 변론기일이 오늘 진행됐습니다.
이번 변론에서는 비상 계엄 당시, 국회에 병력을 투입한 특전사 지휘관들과 박춘섭 대통령실 경제수석이 증인으로 출석했습니다.
사회부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정해주 기자!
재판은 종료됐나요?
[기자]
오늘 오전 10시부터 시작된 재판은 8시간 동안 진행된 뒤 오후 6시쯤 모두 마무리됐습니다.
마지막으로 증언대에 선 박춘섭 대통령실 경제수석에게는 국회에서 예산이 삭감된 과정 등에 대한 질의가 집중됐습니다.
박 수석은 이어지는 줄탄핵과 일방적인 입법, 예산 삭감 등이 비상계엄의 원인이라고 말하는 등 거대 야당의 예산 삭감이 비상계엄의 배경이라고 주장한 윤석열 대통령 측의 의견과 비슷한 입장을 밝혔습니다.
[앵커]
당초 오늘 변론 기일을 두고는 곽종근 전 특수전사령관의 증언에 관심이 쏠렸었죠.
어떤 내용들이 나왔습니까?
[기자]
곽종근 전 육군 특수전사령관은 윤 대통령 측과 상반되는 증언을 했습니다.
곽 전 사령관은 "윤 대통령이 끌어내라고 한 건 국회의원"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또, "윤 대통령이 아직 의결정족수가 채워지지 않은 것 같다"며 "빨리 국회 문을 부수고 들어가 안에 있는 인원들을 밖으로 끄집어내라"고 지시했다고 말했습니다.
윤 대통령 측과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측이 "빼내라고 한 것은 요원"이라고 주장한 것에 대해서도 "당시 본관 내부에 작전 요원이 없었기 때문에 당연히 의원이라고 생각했다"고 반박했습니다.
곽 전 사령관은 국회의 비상계엄 해제 의결 후에도 철수 지시가 없어, 먼저 철수하겠다고 보고했다는 점도 밝혔습니다.
곽 전 사령관의 주장에 대해 윤석열 대통령은 증인 신문 이후 발언 기회를 얻어 반박했습니다.
특히, 윤 대통령은 "다짜고짜 의원을 끌어내라고 지시하는 것은 상식적으로 맞지 않다"며 "홍장원 전 국정원 1차장과 곽종근 전 사령관 때문에 탄핵 공작이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했습니다.
지금까지 사회부에서 전해드렸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탄핵 심판 6차 변론 종료…이 시각 헌재
-
- 입력 2025-02-06 19:01:14
- 수정2025-02-06 19:42:32
[앵커]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6차 변론기일이 오늘 진행됐습니다.
이번 변론에서는 비상 계엄 당시, 국회에 병력을 투입한 특전사 지휘관들과 박춘섭 대통령실 경제수석이 증인으로 출석했습니다.
사회부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정해주 기자!
재판은 종료됐나요?
[기자]
오늘 오전 10시부터 시작된 재판은 8시간 동안 진행된 뒤 오후 6시쯤 모두 마무리됐습니다.
마지막으로 증언대에 선 박춘섭 대통령실 경제수석에게는 국회에서 예산이 삭감된 과정 등에 대한 질의가 집중됐습니다.
박 수석은 이어지는 줄탄핵과 일방적인 입법, 예산 삭감 등이 비상계엄의 원인이라고 말하는 등 거대 야당의 예산 삭감이 비상계엄의 배경이라고 주장한 윤석열 대통령 측의 의견과 비슷한 입장을 밝혔습니다.
[앵커]
당초 오늘 변론 기일을 두고는 곽종근 전 특수전사령관의 증언에 관심이 쏠렸었죠.
어떤 내용들이 나왔습니까?
[기자]
곽종근 전 육군 특수전사령관은 윤 대통령 측과 상반되는 증언을 했습니다.
곽 전 사령관은 "윤 대통령이 끌어내라고 한 건 국회의원"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또, "윤 대통령이 아직 의결정족수가 채워지지 않은 것 같다"며 "빨리 국회 문을 부수고 들어가 안에 있는 인원들을 밖으로 끄집어내라"고 지시했다고 말했습니다.
윤 대통령 측과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측이 "빼내라고 한 것은 요원"이라고 주장한 것에 대해서도 "당시 본관 내부에 작전 요원이 없었기 때문에 당연히 의원이라고 생각했다"고 반박했습니다.
곽 전 사령관은 국회의 비상계엄 해제 의결 후에도 철수 지시가 없어, 먼저 철수하겠다고 보고했다는 점도 밝혔습니다.
곽 전 사령관의 주장에 대해 윤석열 대통령은 증인 신문 이후 발언 기회를 얻어 반박했습니다.
특히, 윤 대통령은 "다짜고짜 의원을 끌어내라고 지시하는 것은 상식적으로 맞지 않다"며 "홍장원 전 국정원 1차장과 곽종근 전 사령관 때문에 탄핵 공작이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했습니다.
지금까지 사회부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6차 변론기일이 오늘 진행됐습니다.
이번 변론에서는 비상 계엄 당시, 국회에 병력을 투입한 특전사 지휘관들과 박춘섭 대통령실 경제수석이 증인으로 출석했습니다.
사회부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정해주 기자!
재판은 종료됐나요?
[기자]
오늘 오전 10시부터 시작된 재판은 8시간 동안 진행된 뒤 오후 6시쯤 모두 마무리됐습니다.
마지막으로 증언대에 선 박춘섭 대통령실 경제수석에게는 국회에서 예산이 삭감된 과정 등에 대한 질의가 집중됐습니다.
박 수석은 이어지는 줄탄핵과 일방적인 입법, 예산 삭감 등이 비상계엄의 원인이라고 말하는 등 거대 야당의 예산 삭감이 비상계엄의 배경이라고 주장한 윤석열 대통령 측의 의견과 비슷한 입장을 밝혔습니다.
[앵커]
당초 오늘 변론 기일을 두고는 곽종근 전 특수전사령관의 증언에 관심이 쏠렸었죠.
어떤 내용들이 나왔습니까?
[기자]
곽종근 전 육군 특수전사령관은 윤 대통령 측과 상반되는 증언을 했습니다.
곽 전 사령관은 "윤 대통령이 끌어내라고 한 건 국회의원"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또, "윤 대통령이 아직 의결정족수가 채워지지 않은 것 같다"며 "빨리 국회 문을 부수고 들어가 안에 있는 인원들을 밖으로 끄집어내라"고 지시했다고 말했습니다.
윤 대통령 측과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측이 "빼내라고 한 것은 요원"이라고 주장한 것에 대해서도 "당시 본관 내부에 작전 요원이 없었기 때문에 당연히 의원이라고 생각했다"고 반박했습니다.
곽 전 사령관은 국회의 비상계엄 해제 의결 후에도 철수 지시가 없어, 먼저 철수하겠다고 보고했다는 점도 밝혔습니다.
곽 전 사령관의 주장에 대해 윤석열 대통령은 증인 신문 이후 발언 기회를 얻어 반박했습니다.
특히, 윤 대통령은 "다짜고짜 의원을 끌어내라고 지시하는 것은 상식적으로 맞지 않다"며 "홍장원 전 국정원 1차장과 곽종근 전 사령관 때문에 탄핵 공작이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했습니다.
지금까지 사회부에서 전해드렸습니다.
-
-
정해주 기자 seyo@kbs.co.kr
정해주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윤석열 대통령 구속기소…헌정 최초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