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서도 북중우호조약 64주년 연회…북중, 주빈 격 모두 회복

입력 2025.07.13 (11:37) 수정 2025.07.13 (11:4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북중우호조약 체결 64주년 기념 연회가 평양에 이어 베이징에서도 열렸습니다.

조선중앙통신은 오늘(13일) "조중(북중) 우호, 협조 및 호상원조에 관한 조약(북중우호조약) 체결 64돌에 즈음하여 중국 주재 우리나라 대사관이 10일 연회를 마련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연회에는 한국으로 보면 국회 격인 중국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상무위원회 왕둥밍 부위원장이 주빈으로 참석했습니다.

지난해 63주년 행사에는 북러 밀착과 맞물려 북중 관계가 다소 소원해지면서 허핑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 외사위원회 주임이 참석한 바 있는데, 예년처럼 전인대 상무위원회 부위원장으로 주빈의 격이 복원된 겁니다.

앞서 9일 평양에서 열린 연회에도 북측에서 강윤석 최고인민위원회 상임위원회 부위원장이 참석, 작년에 김승찬 김일성종합대학 총장이 참석하며 낮아졌던 주빈의 격이 회복된 바 있습니다.

북중 모두 전통적 우방인 서로에 대한 관계 회복에 의지를 보인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연회에 참석한 리룡남 주중 북한대사는 북한과 중국의 친선을 대를 이어 강화 발전시켜나가려는 것은 우리의 확고부동한 입장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왕 부위원장은 전통적인 친선, 협조 관계를 훌륭히 발전시키는 것은 중국당과 정부의 확고부동한 전략적 방침이라며 중국과 북한의 친선을 대를 이어 계승해나갈 입장이라고 밝혔습니다.

지난해 북중 우호조약 체결 63주년을 '침묵'으로 지나갔던 북한 노동신문과 중국 인민일보 등 양국 관영매체는 올해 11일에는 다시 기념 기사도 게재했습니다.

북한과 중국은 1961년 7월 11일 한 나라가 침공당하면 다른 나라가 바로 참전하도록 '군사 자동 개입조항' 등을 담은 '조중 우호, 협조 및 호상 원조에 관한 조약'을 체결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주북 중국대사관 제공]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베이징서도 북중우호조약 64주년 연회…북중, 주빈 격 모두 회복
    • 입력 2025-07-13 11:37:13
    • 수정2025-07-13 11:40:35
    정치
북중우호조약 체결 64주년 기념 연회가 평양에 이어 베이징에서도 열렸습니다.

조선중앙통신은 오늘(13일) "조중(북중) 우호, 협조 및 호상원조에 관한 조약(북중우호조약) 체결 64돌에 즈음하여 중국 주재 우리나라 대사관이 10일 연회를 마련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연회에는 한국으로 보면 국회 격인 중국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상무위원회 왕둥밍 부위원장이 주빈으로 참석했습니다.

지난해 63주년 행사에는 북러 밀착과 맞물려 북중 관계가 다소 소원해지면서 허핑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 외사위원회 주임이 참석한 바 있는데, 예년처럼 전인대 상무위원회 부위원장으로 주빈의 격이 복원된 겁니다.

앞서 9일 평양에서 열린 연회에도 북측에서 강윤석 최고인민위원회 상임위원회 부위원장이 참석, 작년에 김승찬 김일성종합대학 총장이 참석하며 낮아졌던 주빈의 격이 회복된 바 있습니다.

북중 모두 전통적 우방인 서로에 대한 관계 회복에 의지를 보인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연회에 참석한 리룡남 주중 북한대사는 북한과 중국의 친선을 대를 이어 강화 발전시켜나가려는 것은 우리의 확고부동한 입장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왕 부위원장은 전통적인 친선, 협조 관계를 훌륭히 발전시키는 것은 중국당과 정부의 확고부동한 전략적 방침이라며 중국과 북한의 친선을 대를 이어 계승해나갈 입장이라고 밝혔습니다.

지난해 북중 우호조약 체결 63주년을 '침묵'으로 지나갔던 북한 노동신문과 중국 인민일보 등 양국 관영매체는 올해 11일에는 다시 기념 기사도 게재했습니다.

북한과 중국은 1961년 7월 11일 한 나라가 침공당하면 다른 나라가 바로 참전하도록 '군사 자동 개입조항' 등을 담은 '조중 우호, 협조 및 호상 원조에 관한 조약'을 체결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주북 중국대사관 제공]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