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SNS 언급에 김 총리 “협상팀 믿어달라”…통일부 장관 “협상 전술”
입력 2025.08.26 (00:45)
수정 2025.08.26 (00:4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김민석 국무총리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SNS에 '한국에서 숙청 또는 혁명'을 언급한 글을 한미 정상회담 직전에 올린 데 대해 "협상에 나선 대통령과 정부 측 협상팀을 믿고 응원하는 것이 최상"이라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김 총리는 어젯밤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개혁신당 천하람 의원의 질문을 받고 "트럼프 대통령의 굉장히 다양한 협상 경험, 이런 것들을 저희들이 충분히 알고 있다"며 이같이 언급했습니다.
이어 "그 이상 과도한 해석은 지금으로서는 그다지 필요가 없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고 강조했습니다.
회의에 나온 정동영 통일부 장관도 트럼프 대통령의 메시지를 미국 측의 협상 전술로 해석했습니다.
정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의) 최대의 압박 작전"이라며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 측이 호락호락하지 않다. 쉽게 물러나지 않고 있다'라는 보고를 받았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아마 이 대통령께서 잘 대처하실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미정상회담을 앞두고 우리 시간으로 어젯밤 본인의 SNS 트루스소셜에 "한국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 것인가. 숙청 또는 혁명같이 보인다"라며 "우리는 그것을 수용할 수 없고, 거기서 사업할 수 없다"고 썼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김 총리는 어젯밤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개혁신당 천하람 의원의 질문을 받고 "트럼프 대통령의 굉장히 다양한 협상 경험, 이런 것들을 저희들이 충분히 알고 있다"며 이같이 언급했습니다.
이어 "그 이상 과도한 해석은 지금으로서는 그다지 필요가 없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고 강조했습니다.
회의에 나온 정동영 통일부 장관도 트럼프 대통령의 메시지를 미국 측의 협상 전술로 해석했습니다.
정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의) 최대의 압박 작전"이라며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 측이 호락호락하지 않다. 쉽게 물러나지 않고 있다'라는 보고를 받았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아마 이 대통령께서 잘 대처하실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미정상회담을 앞두고 우리 시간으로 어젯밤 본인의 SNS 트루스소셜에 "한국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 것인가. 숙청 또는 혁명같이 보인다"라며 "우리는 그것을 수용할 수 없고, 거기서 사업할 수 없다"고 썼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트럼프 SNS 언급에 김 총리 “협상팀 믿어달라”…통일부 장관 “협상 전술”
-
- 입력 2025-08-26 00:45:11
- 수정2025-08-26 00:45:33

김민석 국무총리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SNS에 '한국에서 숙청 또는 혁명'을 언급한 글을 한미 정상회담 직전에 올린 데 대해 "협상에 나선 대통령과 정부 측 협상팀을 믿고 응원하는 것이 최상"이라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김 총리는 어젯밤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개혁신당 천하람 의원의 질문을 받고 "트럼프 대통령의 굉장히 다양한 협상 경험, 이런 것들을 저희들이 충분히 알고 있다"며 이같이 언급했습니다.
이어 "그 이상 과도한 해석은 지금으로서는 그다지 필요가 없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고 강조했습니다.
회의에 나온 정동영 통일부 장관도 트럼프 대통령의 메시지를 미국 측의 협상 전술로 해석했습니다.
정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의) 최대의 압박 작전"이라며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 측이 호락호락하지 않다. 쉽게 물러나지 않고 있다'라는 보고를 받았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아마 이 대통령께서 잘 대처하실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미정상회담을 앞두고 우리 시간으로 어젯밤 본인의 SNS 트루스소셜에 "한국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 것인가. 숙청 또는 혁명같이 보인다"라며 "우리는 그것을 수용할 수 없고, 거기서 사업할 수 없다"고 썼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김 총리는 어젯밤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개혁신당 천하람 의원의 질문을 받고 "트럼프 대통령의 굉장히 다양한 협상 경험, 이런 것들을 저희들이 충분히 알고 있다"며 이같이 언급했습니다.
이어 "그 이상 과도한 해석은 지금으로서는 그다지 필요가 없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고 강조했습니다.
회의에 나온 정동영 통일부 장관도 트럼프 대통령의 메시지를 미국 측의 협상 전술로 해석했습니다.
정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의) 최대의 압박 작전"이라며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 측이 호락호락하지 않다. 쉽게 물러나지 않고 있다'라는 보고를 받았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아마 이 대통령께서 잘 대처하실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미정상회담을 앞두고 우리 시간으로 어젯밤 본인의 SNS 트루스소셜에 "한국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 것인가. 숙청 또는 혁명같이 보인다"라며 "우리는 그것을 수용할 수 없고, 거기서 사업할 수 없다"고 썼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지형철 기자 ican@kbs.co.kr
지형철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8·25 한미 정상회담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