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절반 “AI 쓴다”…확산 속도 미국의 2배
입력 2025.08.18 (21:32)
수정 2025.08.18 (22:0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업무 등에 챗GPT 같은 생성형 AI 활용하는 분들 많은데요.
직장인 2명 중 1명 이상이 쓰고 있는 거로 조사됐습니다.
인공지능의 본산, 미국보다 2배 많은 수준입니다.
박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보험료를 산출하는데 수명은 꼭 필요한 자료입니다.
생성형 AI에 기대수명을 물었더니, 데이터가 바로 시각화됩니다.
[임지영/보험개발원 데이터AI기획팀장 : "자료를 검색하거나 요약하거나 또 해외 자료인 경우에는 번역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을 하고 있습니다."]
챗GPT가 첫 서비스를 시작한 건 2022년 11월.
2년 반 정도 지났는데, 국내 근로자가 업무에 생성형 AI를 쓰는 비율, 51.8%로 조사됐습니다.
인공지능의 최선두 국가, 미국은 26.5%입니다.
매일 1시간 이상 생성형 AI를 쓰는 이른바 '헤비 유저' 비율도 한국이 미국의 2배 이상이었습니다.
[1995년 8월 '뉴스9' : "인터넷 통신도 그림을 단 한 번만 누르면 자동으로 연결됩니다."]
초창기 인터넷과 비교해도 AI가 훨씬 빨리 확산하고 있습니다.
상용화 만 3년 시점 국내 인터넷 활용률은 8%.
생성형 AI는 3년이 안 됐는데도 63.5%, 8배 이상입니다.
생성형 AI 활용은 근로시간도 3.8% 정도 줄였습니다.
주 40시간 기준, 1시간 반 정도 덜 일할 수 있는 겁니다.
[서동현/한국은행 고용연구팀 과장 : "(앞으로) 업무시간이 35시간 필요하다 하면은, 생성형 AI를 활용해서 좀 더 유연성을 높이는 방식을 생각해 볼 수 있고요."]
지금은 사무직에 국한되지만, 물리적 AI, 즉 AI를 장착한 로봇이 보편화되면 생산직도 큰 영향을 받을 거라고 한국은행은 전망했습니다.
KBS 뉴스 박찬입니다.
촬영기자:정민욱/영상편집:고응용/그래픽:김성일
업무 등에 챗GPT 같은 생성형 AI 활용하는 분들 많은데요.
직장인 2명 중 1명 이상이 쓰고 있는 거로 조사됐습니다.
인공지능의 본산, 미국보다 2배 많은 수준입니다.
박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보험료를 산출하는데 수명은 꼭 필요한 자료입니다.
생성형 AI에 기대수명을 물었더니, 데이터가 바로 시각화됩니다.
[임지영/보험개발원 데이터AI기획팀장 : "자료를 검색하거나 요약하거나 또 해외 자료인 경우에는 번역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을 하고 있습니다."]
챗GPT가 첫 서비스를 시작한 건 2022년 11월.
2년 반 정도 지났는데, 국내 근로자가 업무에 생성형 AI를 쓰는 비율, 51.8%로 조사됐습니다.
인공지능의 최선두 국가, 미국은 26.5%입니다.
매일 1시간 이상 생성형 AI를 쓰는 이른바 '헤비 유저' 비율도 한국이 미국의 2배 이상이었습니다.
[1995년 8월 '뉴스9' : "인터넷 통신도 그림을 단 한 번만 누르면 자동으로 연결됩니다."]
초창기 인터넷과 비교해도 AI가 훨씬 빨리 확산하고 있습니다.
상용화 만 3년 시점 국내 인터넷 활용률은 8%.
생성형 AI는 3년이 안 됐는데도 63.5%, 8배 이상입니다.
생성형 AI 활용은 근로시간도 3.8% 정도 줄였습니다.
주 40시간 기준, 1시간 반 정도 덜 일할 수 있는 겁니다.
[서동현/한국은행 고용연구팀 과장 : "(앞으로) 업무시간이 35시간 필요하다 하면은, 생성형 AI를 활용해서 좀 더 유연성을 높이는 방식을 생각해 볼 수 있고요."]
지금은 사무직에 국한되지만, 물리적 AI, 즉 AI를 장착한 로봇이 보편화되면 생산직도 큰 영향을 받을 거라고 한국은행은 전망했습니다.
KBS 뉴스 박찬입니다.
촬영기자:정민욱/영상편집:고응용/그래픽:김성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직장인 절반 “AI 쓴다”…확산 속도 미국의 2배
-
- 입력 2025-08-18 21:32:26
- 수정2025-08-18 22:04:48

[앵커]
업무 등에 챗GPT 같은 생성형 AI 활용하는 분들 많은데요.
직장인 2명 중 1명 이상이 쓰고 있는 거로 조사됐습니다.
인공지능의 본산, 미국보다 2배 많은 수준입니다.
박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보험료를 산출하는데 수명은 꼭 필요한 자료입니다.
생성형 AI에 기대수명을 물었더니, 데이터가 바로 시각화됩니다.
[임지영/보험개발원 데이터AI기획팀장 : "자료를 검색하거나 요약하거나 또 해외 자료인 경우에는 번역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을 하고 있습니다."]
챗GPT가 첫 서비스를 시작한 건 2022년 11월.
2년 반 정도 지났는데, 국내 근로자가 업무에 생성형 AI를 쓰는 비율, 51.8%로 조사됐습니다.
인공지능의 최선두 국가, 미국은 26.5%입니다.
매일 1시간 이상 생성형 AI를 쓰는 이른바 '헤비 유저' 비율도 한국이 미국의 2배 이상이었습니다.
[1995년 8월 '뉴스9' : "인터넷 통신도 그림을 단 한 번만 누르면 자동으로 연결됩니다."]
초창기 인터넷과 비교해도 AI가 훨씬 빨리 확산하고 있습니다.
상용화 만 3년 시점 국내 인터넷 활용률은 8%.
생성형 AI는 3년이 안 됐는데도 63.5%, 8배 이상입니다.
생성형 AI 활용은 근로시간도 3.8% 정도 줄였습니다.
주 40시간 기준, 1시간 반 정도 덜 일할 수 있는 겁니다.
[서동현/한국은행 고용연구팀 과장 : "(앞으로) 업무시간이 35시간 필요하다 하면은, 생성형 AI를 활용해서 좀 더 유연성을 높이는 방식을 생각해 볼 수 있고요."]
지금은 사무직에 국한되지만, 물리적 AI, 즉 AI를 장착한 로봇이 보편화되면 생산직도 큰 영향을 받을 거라고 한국은행은 전망했습니다.
KBS 뉴스 박찬입니다.
촬영기자:정민욱/영상편집:고응용/그래픽:김성일
업무 등에 챗GPT 같은 생성형 AI 활용하는 분들 많은데요.
직장인 2명 중 1명 이상이 쓰고 있는 거로 조사됐습니다.
인공지능의 본산, 미국보다 2배 많은 수준입니다.
박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보험료를 산출하는데 수명은 꼭 필요한 자료입니다.
생성형 AI에 기대수명을 물었더니, 데이터가 바로 시각화됩니다.
[임지영/보험개발원 데이터AI기획팀장 : "자료를 검색하거나 요약하거나 또 해외 자료인 경우에는 번역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을 하고 있습니다."]
챗GPT가 첫 서비스를 시작한 건 2022년 11월.
2년 반 정도 지났는데, 국내 근로자가 업무에 생성형 AI를 쓰는 비율, 51.8%로 조사됐습니다.
인공지능의 최선두 국가, 미국은 26.5%입니다.
매일 1시간 이상 생성형 AI를 쓰는 이른바 '헤비 유저' 비율도 한국이 미국의 2배 이상이었습니다.
[1995년 8월 '뉴스9' : "인터넷 통신도 그림을 단 한 번만 누르면 자동으로 연결됩니다."]
초창기 인터넷과 비교해도 AI가 훨씬 빨리 확산하고 있습니다.
상용화 만 3년 시점 국내 인터넷 활용률은 8%.
생성형 AI는 3년이 안 됐는데도 63.5%, 8배 이상입니다.
생성형 AI 활용은 근로시간도 3.8% 정도 줄였습니다.
주 40시간 기준, 1시간 반 정도 덜 일할 수 있는 겁니다.
[서동현/한국은행 고용연구팀 과장 : "(앞으로) 업무시간이 35시간 필요하다 하면은, 생성형 AI를 활용해서 좀 더 유연성을 높이는 방식을 생각해 볼 수 있고요."]
지금은 사무직에 국한되지만, 물리적 AI, 즉 AI를 장착한 로봇이 보편화되면 생산직도 큰 영향을 받을 거라고 한국은행은 전망했습니다.
KBS 뉴스 박찬입니다.
촬영기자:정민욱/영상편집:고응용/그래픽:김성일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