견제와 협력의 딜레마…‘가장 가까운 이웃’ 될 수 있을까

입력 2025.08.16 (21:19) 수정 2025.08.16 (21:5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광복 80주년을 맞아 다시 생각해 보지 않을 수 없는 문제가 한일 관계입니다.

마침 오는 23일부터 이재명 대통령이 일본을 방문해 이시바 총리와 정상회담을 갖습니다.

우리 대통령이 취임 후 양자 정상회담을 위한 첫 방문국으로 일본을 택한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과거의 아픔과 갈등을 넘어 진정한 미래지향적 관계로 나아갈수 있을지 한일 두 나라 관계가 변곡점에 놓여있습니다.

전문가들의 해법을 김경진 기자가 들어봤습니다.

[리포트]

시차가 없고 거리가 가까워 매년 1,200만 명이 오고 가는 이웃 나라 일본, 문화, 경제 등에서 손을 잡으면, 시너지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강창일/전 주일대사 : "기술, 자본, 시장까지 합쳐서 같이 나간다면 유럽 못지않게 엄청난 시너지 효과가 날 것이다."]

하지만 침략의 역사와 피해자가 느끼기에 미흡한 반성은, 한일 관계 발전을 가로막고 있습니다.

[장성일/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 : "(과거사는) 과거에 머물러 있는 문제가 아니고 현재에도 그리고 미래에 국가 관계에도 영향을 주는 중요한 문제이기 때문에."]

이재명 정부는 과거사와 현안을 분리하는 '투 트랙'을 강조하고 있는데.

[조성렬/전 오사카 총영사 : "과거사 문제는 원칙은 원칙대로 대하되 실용 외교의 흐름은 이어가려고 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한 걸음 더 나아가 '멀티 트랙'을 제안합니다.

[강창일/전 주일대사 : "경제는 경제대로 안보는 안보대로 정치는 정치대로 과거사는 과거사대로 각각각각 움직여 나간다."]

특히 시민사회의 역할을 강조합니다.

[백태웅/하와이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 "피해자들의 진정한 그 원망을 담는 그런 시민사회 중심의 새로운 해결 방안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백순/전 주호주대사 : "위안부 문제라든지 강제징용 문제 이런 거는 분명히 인권 문제이기 때문에 국제적으로도 호소력이 있거든요."]

협력과 견제 사이에서도, 서로가 바라보아야 할 곳은, 과거가 아닌 미래가 되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합니다.

KBS 뉴스 김경진입니다.

촬영기자:이상훈 김철호 이중우 지선호/영상편집:김형기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견제와 협력의 딜레마…‘가장 가까운 이웃’ 될 수 있을까
    • 입력 2025-08-16 21:19:04
    • 수정2025-08-16 21:52:07
    뉴스 9
[앵커]

광복 80주년을 맞아 다시 생각해 보지 않을 수 없는 문제가 한일 관계입니다.

마침 오는 23일부터 이재명 대통령이 일본을 방문해 이시바 총리와 정상회담을 갖습니다.

우리 대통령이 취임 후 양자 정상회담을 위한 첫 방문국으로 일본을 택한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과거의 아픔과 갈등을 넘어 진정한 미래지향적 관계로 나아갈수 있을지 한일 두 나라 관계가 변곡점에 놓여있습니다.

전문가들의 해법을 김경진 기자가 들어봤습니다.

[리포트]

시차가 없고 거리가 가까워 매년 1,200만 명이 오고 가는 이웃 나라 일본, 문화, 경제 등에서 손을 잡으면, 시너지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강창일/전 주일대사 : "기술, 자본, 시장까지 합쳐서 같이 나간다면 유럽 못지않게 엄청난 시너지 효과가 날 것이다."]

하지만 침략의 역사와 피해자가 느끼기에 미흡한 반성은, 한일 관계 발전을 가로막고 있습니다.

[장성일/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 : "(과거사는) 과거에 머물러 있는 문제가 아니고 현재에도 그리고 미래에 국가 관계에도 영향을 주는 중요한 문제이기 때문에."]

이재명 정부는 과거사와 현안을 분리하는 '투 트랙'을 강조하고 있는데.

[조성렬/전 오사카 총영사 : "과거사 문제는 원칙은 원칙대로 대하되 실용 외교의 흐름은 이어가려고 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한 걸음 더 나아가 '멀티 트랙'을 제안합니다.

[강창일/전 주일대사 : "경제는 경제대로 안보는 안보대로 정치는 정치대로 과거사는 과거사대로 각각각각 움직여 나간다."]

특히 시민사회의 역할을 강조합니다.

[백태웅/하와이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 "피해자들의 진정한 그 원망을 담는 그런 시민사회 중심의 새로운 해결 방안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백순/전 주호주대사 : "위안부 문제라든지 강제징용 문제 이런 거는 분명히 인권 문제이기 때문에 국제적으로도 호소력이 있거든요."]

협력과 견제 사이에서도, 서로가 바라보아야 할 곳은, 과거가 아닌 미래가 되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합니다.

KBS 뉴스 김경진입니다.

촬영기자:이상훈 김철호 이중우 지선호/영상편집:김형기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