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독증 초등생’ 급증…조기 진단·치료 중요
입력 2025.08.08 (21:33)
수정 2025.08.08 (21:4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발명가 토마스 에디슨, 영화감독 스티븐 스필버그, 그리고 배우 톰 크루즈입니다.
어린 시절 읽기 장애, 이른바 '난독증'을 앓았던 걸로 알려진 인물들입니다.
난독증은 이렇게 시력과 청력에 문제가 없고 지능 역시 정상인데도 유독 글자를 읽는 데에만 어려움을 겪는 증상입니다.
한글로 따지자면 ㅇ과 ㅁ등 음운 구분을 어려워한다거나, 글자의 앞뒤를 바꿔 인식하는 오류가 대표적입니다.
그래서 난독증이 있으면 학습 능력이 크게 떨어질 수밖에 없겠죠.
그런데 요즘 이런 난독증을 앓는 초등학생이 늘고 있다고 합니다.
고아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초등학교 2학년 김 모 양.
꾸준히 한글 공부를 했지만 짧은 그림책도 읽지 못해 난독 진단을 받았습니다.
['난독' 초등학생 학부모/음성변조 : "5살, 4살짜리가 읽는 '저리 가, 나비야' 그것도 (못 읽어서) 그림으로 많이 맞췄는데, 연습을 하는데도 안 되더라고요."]
4년 전 170여 명이었던 서울시교육청 난독 진단 학생은 지난해 900명을 넘어섰습니다.
어린 나이부터 영상에 노출되며 책을 멀리하는 경우가 많은데다, 코로나 확산도 읽기 능력에 악영향을 미친 걸로 보입니다.
[정현주/서울중부교육지원청 난독 연구원 : "읽기에 대한 경험이 적고, 읽기에 흥미를 느끼지 못하는 친구들이 굉장히 많거든요."]
중요한 건 적극적인 초기 진단과 치료입니다.
글자를 읽고 쓰지 못 하니 자폐나 ADHD 등으로 오인하기도 하는데, 지능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전문 치료시 대부분 빠르게 호전됩니다.
['난독' 초등학생 학부모/음성변조 : "하나하나씩 읽고 그거(글자와) 결합하는 거 배우면서부터는 1학년 수준의 글들을 계속해서 읽어 나갔어요."]
서울시교육청도 올해부터 초등 1학년생 전체를 대상으로 난독 조사를 진행하며 적극적인 초기 대응에 나섰습니다.
[강언진/서울중부교육지원청 장학사 : "(한글을) 학습하는 시기에 적절하게 개입이 되고 또 거기 알맞은 프로그램을 지원 하면, 다른 기초학력에 대한 (문제) 부분들도 예방이 될 수 있는…."]
전문가들은 복잡한 구문이 나오는 초등 3학년 이전에 난독 치료를 받는 게 큰 도움이 된다고 조언합니다.
KBS 뉴스 고아름입니다.
촬영기자:최상철/영상편집:이현모/그래픽:박미주 여현수
발명가 토마스 에디슨, 영화감독 스티븐 스필버그, 그리고 배우 톰 크루즈입니다.
어린 시절 읽기 장애, 이른바 '난독증'을 앓았던 걸로 알려진 인물들입니다.
난독증은 이렇게 시력과 청력에 문제가 없고 지능 역시 정상인데도 유독 글자를 읽는 데에만 어려움을 겪는 증상입니다.
한글로 따지자면 ㅇ과 ㅁ등 음운 구분을 어려워한다거나, 글자의 앞뒤를 바꿔 인식하는 오류가 대표적입니다.
그래서 난독증이 있으면 학습 능력이 크게 떨어질 수밖에 없겠죠.
그런데 요즘 이런 난독증을 앓는 초등학생이 늘고 있다고 합니다.
고아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초등학교 2학년 김 모 양.
꾸준히 한글 공부를 했지만 짧은 그림책도 읽지 못해 난독 진단을 받았습니다.
['난독' 초등학생 학부모/음성변조 : "5살, 4살짜리가 읽는 '저리 가, 나비야' 그것도 (못 읽어서) 그림으로 많이 맞췄는데, 연습을 하는데도 안 되더라고요."]
4년 전 170여 명이었던 서울시교육청 난독 진단 학생은 지난해 900명을 넘어섰습니다.
어린 나이부터 영상에 노출되며 책을 멀리하는 경우가 많은데다, 코로나 확산도 읽기 능력에 악영향을 미친 걸로 보입니다.
[정현주/서울중부교육지원청 난독 연구원 : "읽기에 대한 경험이 적고, 읽기에 흥미를 느끼지 못하는 친구들이 굉장히 많거든요."]
중요한 건 적극적인 초기 진단과 치료입니다.
글자를 읽고 쓰지 못 하니 자폐나 ADHD 등으로 오인하기도 하는데, 지능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전문 치료시 대부분 빠르게 호전됩니다.
['난독' 초등학생 학부모/음성변조 : "하나하나씩 읽고 그거(글자와) 결합하는 거 배우면서부터는 1학년 수준의 글들을 계속해서 읽어 나갔어요."]
서울시교육청도 올해부터 초등 1학년생 전체를 대상으로 난독 조사를 진행하며 적극적인 초기 대응에 나섰습니다.
[강언진/서울중부교육지원청 장학사 : "(한글을) 학습하는 시기에 적절하게 개입이 되고 또 거기 알맞은 프로그램을 지원 하면, 다른 기초학력에 대한 (문제) 부분들도 예방이 될 수 있는…."]
전문가들은 복잡한 구문이 나오는 초등 3학년 이전에 난독 치료를 받는 게 큰 도움이 된다고 조언합니다.
KBS 뉴스 고아름입니다.
촬영기자:최상철/영상편집:이현모/그래픽:박미주 여현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난독증 초등생’ 급증…조기 진단·치료 중요
-
- 입력 2025-08-08 21:33:51
- 수정2025-08-08 21:41:25

[앵커]
발명가 토마스 에디슨, 영화감독 스티븐 스필버그, 그리고 배우 톰 크루즈입니다.
어린 시절 읽기 장애, 이른바 '난독증'을 앓았던 걸로 알려진 인물들입니다.
난독증은 이렇게 시력과 청력에 문제가 없고 지능 역시 정상인데도 유독 글자를 읽는 데에만 어려움을 겪는 증상입니다.
한글로 따지자면 ㅇ과 ㅁ등 음운 구분을 어려워한다거나, 글자의 앞뒤를 바꿔 인식하는 오류가 대표적입니다.
그래서 난독증이 있으면 학습 능력이 크게 떨어질 수밖에 없겠죠.
그런데 요즘 이런 난독증을 앓는 초등학생이 늘고 있다고 합니다.
고아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초등학교 2학년 김 모 양.
꾸준히 한글 공부를 했지만 짧은 그림책도 읽지 못해 난독 진단을 받았습니다.
['난독' 초등학생 학부모/음성변조 : "5살, 4살짜리가 읽는 '저리 가, 나비야' 그것도 (못 읽어서) 그림으로 많이 맞췄는데, 연습을 하는데도 안 되더라고요."]
4년 전 170여 명이었던 서울시교육청 난독 진단 학생은 지난해 900명을 넘어섰습니다.
어린 나이부터 영상에 노출되며 책을 멀리하는 경우가 많은데다, 코로나 확산도 읽기 능력에 악영향을 미친 걸로 보입니다.
[정현주/서울중부교육지원청 난독 연구원 : "읽기에 대한 경험이 적고, 읽기에 흥미를 느끼지 못하는 친구들이 굉장히 많거든요."]
중요한 건 적극적인 초기 진단과 치료입니다.
글자를 읽고 쓰지 못 하니 자폐나 ADHD 등으로 오인하기도 하는데, 지능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전문 치료시 대부분 빠르게 호전됩니다.
['난독' 초등학생 학부모/음성변조 : "하나하나씩 읽고 그거(글자와) 결합하는 거 배우면서부터는 1학년 수준의 글들을 계속해서 읽어 나갔어요."]
서울시교육청도 올해부터 초등 1학년생 전체를 대상으로 난독 조사를 진행하며 적극적인 초기 대응에 나섰습니다.
[강언진/서울중부교육지원청 장학사 : "(한글을) 학습하는 시기에 적절하게 개입이 되고 또 거기 알맞은 프로그램을 지원 하면, 다른 기초학력에 대한 (문제) 부분들도 예방이 될 수 있는…."]
전문가들은 복잡한 구문이 나오는 초등 3학년 이전에 난독 치료를 받는 게 큰 도움이 된다고 조언합니다.
KBS 뉴스 고아름입니다.
촬영기자:최상철/영상편집:이현모/그래픽:박미주 여현수
발명가 토마스 에디슨, 영화감독 스티븐 스필버그, 그리고 배우 톰 크루즈입니다.
어린 시절 읽기 장애, 이른바 '난독증'을 앓았던 걸로 알려진 인물들입니다.
난독증은 이렇게 시력과 청력에 문제가 없고 지능 역시 정상인데도 유독 글자를 읽는 데에만 어려움을 겪는 증상입니다.
한글로 따지자면 ㅇ과 ㅁ등 음운 구분을 어려워한다거나, 글자의 앞뒤를 바꿔 인식하는 오류가 대표적입니다.
그래서 난독증이 있으면 학습 능력이 크게 떨어질 수밖에 없겠죠.
그런데 요즘 이런 난독증을 앓는 초등학생이 늘고 있다고 합니다.
고아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초등학교 2학년 김 모 양.
꾸준히 한글 공부를 했지만 짧은 그림책도 읽지 못해 난독 진단을 받았습니다.
['난독' 초등학생 학부모/음성변조 : "5살, 4살짜리가 읽는 '저리 가, 나비야' 그것도 (못 읽어서) 그림으로 많이 맞췄는데, 연습을 하는데도 안 되더라고요."]
4년 전 170여 명이었던 서울시교육청 난독 진단 학생은 지난해 900명을 넘어섰습니다.
어린 나이부터 영상에 노출되며 책을 멀리하는 경우가 많은데다, 코로나 확산도 읽기 능력에 악영향을 미친 걸로 보입니다.
[정현주/서울중부교육지원청 난독 연구원 : "읽기에 대한 경험이 적고, 읽기에 흥미를 느끼지 못하는 친구들이 굉장히 많거든요."]
중요한 건 적극적인 초기 진단과 치료입니다.
글자를 읽고 쓰지 못 하니 자폐나 ADHD 등으로 오인하기도 하는데, 지능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전문 치료시 대부분 빠르게 호전됩니다.
['난독' 초등학생 학부모/음성변조 : "하나하나씩 읽고 그거(글자와) 결합하는 거 배우면서부터는 1학년 수준의 글들을 계속해서 읽어 나갔어요."]
서울시교육청도 올해부터 초등 1학년생 전체를 대상으로 난독 조사를 진행하며 적극적인 초기 대응에 나섰습니다.
[강언진/서울중부교육지원청 장학사 : "(한글을) 학습하는 시기에 적절하게 개입이 되고 또 거기 알맞은 프로그램을 지원 하면, 다른 기초학력에 대한 (문제) 부분들도 예방이 될 수 있는…."]
전문가들은 복잡한 구문이 나오는 초등 3학년 이전에 난독 치료를 받는 게 큰 도움이 된다고 조언합니다.
KBS 뉴스 고아름입니다.
촬영기자:최상철/영상편집:이현모/그래픽:박미주 여현수
-
-
고아름 기자 areum@kbs.co.kr
고아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