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국민 이익이 최우선…희생하며 협정 체결하는게 목표는 아냐”
입력 2025.07.23 (16:59)
수정 2025.07.23 (17: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가 시한을 일주일 앞둔 미국과의 무역 협상이 타결될 가능성을 낮게 보고 아무런 성과 없이 협상에서 물러날 수도 있음을 시사했다고 미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습니다.
카니 총리는 현지 시각 22일 주지사 10명 등과 대미 무역 협상 관련 긴급회의를 주재한 뒤 시한까지 협정 체결 가능성을 묻는 기자의 질문에 “캐나다 국민의 이익에 최선인 협정안이 테이블 위에 있으면 동의할 것”이라며 “어떤 대가를 치르더라도 협정을 체결하는 것이 우리의 목표는 아니다”고 덧붙였습니다.
그는 협상 대표인 도미니크 르블랑 내각 장관과 그의 팀이 이번 주 남은 기간 미국 워싱턴D.C에서 머무를 것이라며 “협상은 복잡하다. 우리는 필요한 모든 시간을 쓸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인구가 가장 많은 온타리오주의 더그 포드 주지사는 “상황이 끊임없이 바뀌는 탓에 도널드 트럼프와 협상하기는 매우 매우 어렵다”며 “오늘 그와 대화하면 갑자기 다음날 그가 언론에 35% 관세를 언급한다”고 했습니다.
퀘벡주 프랑수아 르고 주지사도 “우리가 뭘 얻을 수 있겠느냐”고 반문하며 “트럼프에게 직접 물어봐야 할 정도인데, 그는 자신이 뭘 원하는지도 잘 모르는 것 같다”고 반응했습니다.
이달 11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8월 1일부터 캐나다에 적용할 상호관세를 35%로 정했다고 발표하면서 카니 총리는 ‘뒤통수를 맞은 격’이 됐습니다. 막판 협상이 진행 중인 와중에 오히려 관세율을 10%포인트 더 올린 것입니다.
애초 카니 총리는 이달 21일까지 협상을 마무리할 계획이라고 밝히고 그간 트럼프 대통령의 요구를 수용하기 위해 ‘굴욕에 가까운 성의’를 보여 왔습니다.
지난달 27일 트럼프 대통령이 캐나다의 ‘디지털서비스세’(DST)를 문제 삼으며 양국 간 무역 대화를 중단하겠다고 위협하자 카니 총리는 이틀 만에 DST를 폐지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카니 총리는 현지 시각 22일 주지사 10명 등과 대미 무역 협상 관련 긴급회의를 주재한 뒤 시한까지 협정 체결 가능성을 묻는 기자의 질문에 “캐나다 국민의 이익에 최선인 협정안이 테이블 위에 있으면 동의할 것”이라며 “어떤 대가를 치르더라도 협정을 체결하는 것이 우리의 목표는 아니다”고 덧붙였습니다.
그는 협상 대표인 도미니크 르블랑 내각 장관과 그의 팀이 이번 주 남은 기간 미국 워싱턴D.C에서 머무를 것이라며 “협상은 복잡하다. 우리는 필요한 모든 시간을 쓸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인구가 가장 많은 온타리오주의 더그 포드 주지사는 “상황이 끊임없이 바뀌는 탓에 도널드 트럼프와 협상하기는 매우 매우 어렵다”며 “오늘 그와 대화하면 갑자기 다음날 그가 언론에 35% 관세를 언급한다”고 했습니다.
퀘벡주 프랑수아 르고 주지사도 “우리가 뭘 얻을 수 있겠느냐”고 반문하며 “트럼프에게 직접 물어봐야 할 정도인데, 그는 자신이 뭘 원하는지도 잘 모르는 것 같다”고 반응했습니다.
이달 11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8월 1일부터 캐나다에 적용할 상호관세를 35%로 정했다고 발표하면서 카니 총리는 ‘뒤통수를 맞은 격’이 됐습니다. 막판 협상이 진행 중인 와중에 오히려 관세율을 10%포인트 더 올린 것입니다.
애초 카니 총리는 이달 21일까지 협상을 마무리할 계획이라고 밝히고 그간 트럼프 대통령의 요구를 수용하기 위해 ‘굴욕에 가까운 성의’를 보여 왔습니다.
지난달 27일 트럼프 대통령이 캐나다의 ‘디지털서비스세’(DST)를 문제 삼으며 양국 간 무역 대화를 중단하겠다고 위협하자 카니 총리는 이틀 만에 DST를 폐지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캐나다 “국민 이익이 최우선…희생하며 협정 체결하는게 목표는 아냐”
-
- 입력 2025-07-23 16:59:49
- 수정2025-07-23 17:00:09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가 시한을 일주일 앞둔 미국과의 무역 협상이 타결될 가능성을 낮게 보고 아무런 성과 없이 협상에서 물러날 수도 있음을 시사했다고 미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습니다.
카니 총리는 현지 시각 22일 주지사 10명 등과 대미 무역 협상 관련 긴급회의를 주재한 뒤 시한까지 협정 체결 가능성을 묻는 기자의 질문에 “캐나다 국민의 이익에 최선인 협정안이 테이블 위에 있으면 동의할 것”이라며 “어떤 대가를 치르더라도 협정을 체결하는 것이 우리의 목표는 아니다”고 덧붙였습니다.
그는 협상 대표인 도미니크 르블랑 내각 장관과 그의 팀이 이번 주 남은 기간 미국 워싱턴D.C에서 머무를 것이라며 “협상은 복잡하다. 우리는 필요한 모든 시간을 쓸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인구가 가장 많은 온타리오주의 더그 포드 주지사는 “상황이 끊임없이 바뀌는 탓에 도널드 트럼프와 협상하기는 매우 매우 어렵다”며 “오늘 그와 대화하면 갑자기 다음날 그가 언론에 35% 관세를 언급한다”고 했습니다.
퀘벡주 프랑수아 르고 주지사도 “우리가 뭘 얻을 수 있겠느냐”고 반문하며 “트럼프에게 직접 물어봐야 할 정도인데, 그는 자신이 뭘 원하는지도 잘 모르는 것 같다”고 반응했습니다.
이달 11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8월 1일부터 캐나다에 적용할 상호관세를 35%로 정했다고 발표하면서 카니 총리는 ‘뒤통수를 맞은 격’이 됐습니다. 막판 협상이 진행 중인 와중에 오히려 관세율을 10%포인트 더 올린 것입니다.
애초 카니 총리는 이달 21일까지 협상을 마무리할 계획이라고 밝히고 그간 트럼프 대통령의 요구를 수용하기 위해 ‘굴욕에 가까운 성의’를 보여 왔습니다.
지난달 27일 트럼프 대통령이 캐나다의 ‘디지털서비스세’(DST)를 문제 삼으며 양국 간 무역 대화를 중단하겠다고 위협하자 카니 총리는 이틀 만에 DST를 폐지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카니 총리는 현지 시각 22일 주지사 10명 등과 대미 무역 협상 관련 긴급회의를 주재한 뒤 시한까지 협정 체결 가능성을 묻는 기자의 질문에 “캐나다 국민의 이익에 최선인 협정안이 테이블 위에 있으면 동의할 것”이라며 “어떤 대가를 치르더라도 협정을 체결하는 것이 우리의 목표는 아니다”고 덧붙였습니다.
그는 협상 대표인 도미니크 르블랑 내각 장관과 그의 팀이 이번 주 남은 기간 미국 워싱턴D.C에서 머무를 것이라며 “협상은 복잡하다. 우리는 필요한 모든 시간을 쓸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인구가 가장 많은 온타리오주의 더그 포드 주지사는 “상황이 끊임없이 바뀌는 탓에 도널드 트럼프와 협상하기는 매우 매우 어렵다”며 “오늘 그와 대화하면 갑자기 다음날 그가 언론에 35% 관세를 언급한다”고 했습니다.
퀘벡주 프랑수아 르고 주지사도 “우리가 뭘 얻을 수 있겠느냐”고 반문하며 “트럼프에게 직접 물어봐야 할 정도인데, 그는 자신이 뭘 원하는지도 잘 모르는 것 같다”고 반응했습니다.
이달 11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8월 1일부터 캐나다에 적용할 상호관세를 35%로 정했다고 발표하면서 카니 총리는 ‘뒤통수를 맞은 격’이 됐습니다. 막판 협상이 진행 중인 와중에 오히려 관세율을 10%포인트 더 올린 것입니다.
애초 카니 총리는 이달 21일까지 협상을 마무리할 계획이라고 밝히고 그간 트럼프 대통령의 요구를 수용하기 위해 ‘굴욕에 가까운 성의’를 보여 왔습니다.
지난달 27일 트럼프 대통령이 캐나다의 ‘디지털서비스세’(DST)를 문제 삼으며 양국 간 무역 대화를 중단하겠다고 위협하자 카니 총리는 이틀 만에 DST를 폐지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
-
김귀수 기자 seowoo10@kbs.co.kr
김귀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트럼프발 ‘관세 전쟁’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