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사자 관 어루만진 김정은…‘유해 송환’ 선전 나서나

입력 2025.07.01 (19:23) 수정 2025.07.01 (22:0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북한이 러시아에 파병한 북한군의 전투 사진과 전사자 유해 송환 장면을 처음 공개했습니다.

파병 사실을 몇 달이 지나서야 뒤늦게 공식 인정했던 북한이 대대적 선전에 나선 이유, 장혁진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리포트]

북한과 러시아의 새 조약 체결 1주년을 맞아 열린 기념 공연, 김정은 위원장이 러시아 문화장관과 나란히 앉아 관람합니다.

["아~ 우리의 영웅들~"]

파병 군인들을 기리는 노래가 울려퍼지는 순간, 참전한 북한군의 모습과 피 묻은 수첩 등이 무대 배경화면으로 흐릅니다.

이어 김 위원장이 전사자 유해가 담긴 관을 인공기로 덮고, 침통한 표정으로 주저앉아 어루만지는 장면도 나옵니다.

파병 부대에 세 차례 공격을 지시했다는 친필 명령서도 처음 공개됐고, 김 위원장과 러시아 측 참석자들이 눈물을 훔치는 장면도 여러 차례 비췄습니다.

[조선중앙TV : "두 나라 군대들 사이에 피로써 맺어진 전투적 우의와 참다운 국제주의적 의리는…."]

지난 4월에야 파병을 공식 인정한 북한이 주민들이 보는 매체에 파병군과 유해 송환 모습까지 대대적으로 공개한 건 처음입니다.

비공개 파견에 주민 동요가 있었다고 알려진 만큼 내부 단합 목적이면서, 러시아에 보상을 요구하는 메시지의 성격도 있다고 정부는 평가했습니다.

[홍민/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희생을 치렀지만 결국은 (러시아와의) 동맹을 강화하고 국가 이익으로 귀결된다, (파병에) 참여했던 사람들은 영웅이다라는 이런 표상들을 만들어냄으로써 심리적인 동요를 막고…."]

북러는 공병과 건설 인력 6천 명을 또 보내기로 합의했고, 국정원은 이르면 7-8월 추가 파병이 이뤄질 거로 보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북한에서 최근 선발 작업이 시작된 가운데, 전사자를 예우하는 모습을 선전하며 내부 결속을 강화하려는 거로 풀이됩니다.

KBS 뉴스 장혁진입니다.

영상편집:이현모/CG:김지혜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전사자 관 어루만진 김정은…‘유해 송환’ 선전 나서나
    • 입력 2025-07-01 19:23:42
    • 수정2025-07-01 22:03:41
    뉴스 7
[앵커]

북한이 러시아에 파병한 북한군의 전투 사진과 전사자 유해 송환 장면을 처음 공개했습니다.

파병 사실을 몇 달이 지나서야 뒤늦게 공식 인정했던 북한이 대대적 선전에 나선 이유, 장혁진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리포트]

북한과 러시아의 새 조약 체결 1주년을 맞아 열린 기념 공연, 김정은 위원장이 러시아 문화장관과 나란히 앉아 관람합니다.

["아~ 우리의 영웅들~"]

파병 군인들을 기리는 노래가 울려퍼지는 순간, 참전한 북한군의 모습과 피 묻은 수첩 등이 무대 배경화면으로 흐릅니다.

이어 김 위원장이 전사자 유해가 담긴 관을 인공기로 덮고, 침통한 표정으로 주저앉아 어루만지는 장면도 나옵니다.

파병 부대에 세 차례 공격을 지시했다는 친필 명령서도 처음 공개됐고, 김 위원장과 러시아 측 참석자들이 눈물을 훔치는 장면도 여러 차례 비췄습니다.

[조선중앙TV : "두 나라 군대들 사이에 피로써 맺어진 전투적 우의와 참다운 국제주의적 의리는…."]

지난 4월에야 파병을 공식 인정한 북한이 주민들이 보는 매체에 파병군과 유해 송환 모습까지 대대적으로 공개한 건 처음입니다.

비공개 파견에 주민 동요가 있었다고 알려진 만큼 내부 단합 목적이면서, 러시아에 보상을 요구하는 메시지의 성격도 있다고 정부는 평가했습니다.

[홍민/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희생을 치렀지만 결국은 (러시아와의) 동맹을 강화하고 국가 이익으로 귀결된다, (파병에) 참여했던 사람들은 영웅이다라는 이런 표상들을 만들어냄으로써 심리적인 동요를 막고…."]

북러는 공병과 건설 인력 6천 명을 또 보내기로 합의했고, 국정원은 이르면 7-8월 추가 파병이 이뤄질 거로 보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북한에서 최근 선발 작업이 시작된 가운데, 전사자를 예우하는 모습을 선전하며 내부 결속을 강화하려는 거로 풀이됩니다.

KBS 뉴스 장혁진입니다.

영상편집:이현모/CG:김지혜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