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입자 못 구할까”…숨죽인 시장, 영향 언제까지?
입력 2025.07.01 (19:14)
수정 2025.07.01 (19:4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번 대출 규제로, 전세보증금을 받아 잔금을 치르려던 분양 아파트 계약자들은 비상이 걸렸습니다.
세입자 전세 대출이 막혀 대출 없이 들어올 사람을 찾아야 할 상황에 놓인 건데요.
서울 아파트 시장은 잠시 숨죽인 분위기인데, 이런 대출 규제로 수요를 억누르는 건 길어야 6개월이란 분석도 있습니다.
이지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달 말 입주를 시작한 천 8백 세대 아파트.
집주인이 입주한다면 강화된 대출 규제가 적용 안되지만, 전세를 계획했던 집주인들은 애가 탑니다.
소유권 이전을 조건으로 세입자에게 내주던 전세 대출이 막혔기 때문입니다.
[강성배/서울 동대문구 공인중개사 : "아직 세 못 낸 분들은 우왕좌왕하는 거죠. 한마디로. 자금이 모자라니까 월세로 전환할 수도 없고…."]
입주를 넉 달가량 앞두고 막바지 공사 중인 이 아파트는 더 비상입니다.
대부분 전세 계약이 체결 안된 상태인데, 집주인들이 대출 없이 들어올 세입자를 구하기 힘든겁니다.
[김 모 씨/서울 동대문구 공인중개사 : "(세입자들은) '주인이 전부 다 (잔금을) 완제하는 전세나 월세 없어요?' 이렇게 묻죠. 그런 물건은 또 별로 없는 상황이죠."]
불붙은 서울 부동산 시장은 일단 숨고르기에 들어갔습니다.
갭투자가 차단된 데다 오늘(1일)부터 시행된 3단계 스트레스 DSR로 대출 한도가 더 줄어든 영향도 있습니다.
[오석종/서울 성동구 공인중개사 : "다시 한번 자금 여력이 되는지 살펴봐야 하는 부분이 있어서 계약에는 당연히 영향을 미치죠."]
다만 이런 '대출 조이기'로 수요를 억제하는 효과는 최대 반년을 넘기기 어려울 거란 분석도 있습니다.
실제 지난 2019년 15억 원 초과 아파트의 주담대 금지 효과가 단 6개월에 그쳤고, 이후 풍선효과를 불러왔다는 겁니다.
[김은선/직방 빅데이터랩장 : "금융을 통한 수요 억제에 집중이 되어 있기 때문에 최근에 이제 입주 물량 감소라든지 정비 사업 지연 등과 같은 공급 쪽에서 나오는 불확실성에 대한 보완이 (필요합니다)."]
대출 규제의 후속조치인 주택 공급대책이 속도감 있게 나와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KBS 뉴스 이지은입니다.
촬영기자:황종원/영상편집:김인수/그래픽:김경진
이번 대출 규제로, 전세보증금을 받아 잔금을 치르려던 분양 아파트 계약자들은 비상이 걸렸습니다.
세입자 전세 대출이 막혀 대출 없이 들어올 사람을 찾아야 할 상황에 놓인 건데요.
서울 아파트 시장은 잠시 숨죽인 분위기인데, 이런 대출 규제로 수요를 억누르는 건 길어야 6개월이란 분석도 있습니다.
이지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달 말 입주를 시작한 천 8백 세대 아파트.
집주인이 입주한다면 강화된 대출 규제가 적용 안되지만, 전세를 계획했던 집주인들은 애가 탑니다.
소유권 이전을 조건으로 세입자에게 내주던 전세 대출이 막혔기 때문입니다.
[강성배/서울 동대문구 공인중개사 : "아직 세 못 낸 분들은 우왕좌왕하는 거죠. 한마디로. 자금이 모자라니까 월세로 전환할 수도 없고…."]
입주를 넉 달가량 앞두고 막바지 공사 중인 이 아파트는 더 비상입니다.
대부분 전세 계약이 체결 안된 상태인데, 집주인들이 대출 없이 들어올 세입자를 구하기 힘든겁니다.
[김 모 씨/서울 동대문구 공인중개사 : "(세입자들은) '주인이 전부 다 (잔금을) 완제하는 전세나 월세 없어요?' 이렇게 묻죠. 그런 물건은 또 별로 없는 상황이죠."]
불붙은 서울 부동산 시장은 일단 숨고르기에 들어갔습니다.
갭투자가 차단된 데다 오늘(1일)부터 시행된 3단계 스트레스 DSR로 대출 한도가 더 줄어든 영향도 있습니다.
[오석종/서울 성동구 공인중개사 : "다시 한번 자금 여력이 되는지 살펴봐야 하는 부분이 있어서 계약에는 당연히 영향을 미치죠."]
다만 이런 '대출 조이기'로 수요를 억제하는 효과는 최대 반년을 넘기기 어려울 거란 분석도 있습니다.
실제 지난 2019년 15억 원 초과 아파트의 주담대 금지 효과가 단 6개월에 그쳤고, 이후 풍선효과를 불러왔다는 겁니다.
[김은선/직방 빅데이터랩장 : "금융을 통한 수요 억제에 집중이 되어 있기 때문에 최근에 이제 입주 물량 감소라든지 정비 사업 지연 등과 같은 공급 쪽에서 나오는 불확실성에 대한 보완이 (필요합니다)."]
대출 규제의 후속조치인 주택 공급대책이 속도감 있게 나와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KBS 뉴스 이지은입니다.
촬영기자:황종원/영상편집:김인수/그래픽:김경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세입자 못 구할까”…숨죽인 시장, 영향 언제까지?
-
- 입력 2025-07-01 19:14:16
- 수정2025-07-01 19:45:03

[앵커]
이번 대출 규제로, 전세보증금을 받아 잔금을 치르려던 분양 아파트 계약자들은 비상이 걸렸습니다.
세입자 전세 대출이 막혀 대출 없이 들어올 사람을 찾아야 할 상황에 놓인 건데요.
서울 아파트 시장은 잠시 숨죽인 분위기인데, 이런 대출 규제로 수요를 억누르는 건 길어야 6개월이란 분석도 있습니다.
이지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달 말 입주를 시작한 천 8백 세대 아파트.
집주인이 입주한다면 강화된 대출 규제가 적용 안되지만, 전세를 계획했던 집주인들은 애가 탑니다.
소유권 이전을 조건으로 세입자에게 내주던 전세 대출이 막혔기 때문입니다.
[강성배/서울 동대문구 공인중개사 : "아직 세 못 낸 분들은 우왕좌왕하는 거죠. 한마디로. 자금이 모자라니까 월세로 전환할 수도 없고…."]
입주를 넉 달가량 앞두고 막바지 공사 중인 이 아파트는 더 비상입니다.
대부분 전세 계약이 체결 안된 상태인데, 집주인들이 대출 없이 들어올 세입자를 구하기 힘든겁니다.
[김 모 씨/서울 동대문구 공인중개사 : "(세입자들은) '주인이 전부 다 (잔금을) 완제하는 전세나 월세 없어요?' 이렇게 묻죠. 그런 물건은 또 별로 없는 상황이죠."]
불붙은 서울 부동산 시장은 일단 숨고르기에 들어갔습니다.
갭투자가 차단된 데다 오늘(1일)부터 시행된 3단계 스트레스 DSR로 대출 한도가 더 줄어든 영향도 있습니다.
[오석종/서울 성동구 공인중개사 : "다시 한번 자금 여력이 되는지 살펴봐야 하는 부분이 있어서 계약에는 당연히 영향을 미치죠."]
다만 이런 '대출 조이기'로 수요를 억제하는 효과는 최대 반년을 넘기기 어려울 거란 분석도 있습니다.
실제 지난 2019년 15억 원 초과 아파트의 주담대 금지 효과가 단 6개월에 그쳤고, 이후 풍선효과를 불러왔다는 겁니다.
[김은선/직방 빅데이터랩장 : "금융을 통한 수요 억제에 집중이 되어 있기 때문에 최근에 이제 입주 물량 감소라든지 정비 사업 지연 등과 같은 공급 쪽에서 나오는 불확실성에 대한 보완이 (필요합니다)."]
대출 규제의 후속조치인 주택 공급대책이 속도감 있게 나와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KBS 뉴스 이지은입니다.
촬영기자:황종원/영상편집:김인수/그래픽:김경진
이번 대출 규제로, 전세보증금을 받아 잔금을 치르려던 분양 아파트 계약자들은 비상이 걸렸습니다.
세입자 전세 대출이 막혀 대출 없이 들어올 사람을 찾아야 할 상황에 놓인 건데요.
서울 아파트 시장은 잠시 숨죽인 분위기인데, 이런 대출 규제로 수요를 억누르는 건 길어야 6개월이란 분석도 있습니다.
이지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달 말 입주를 시작한 천 8백 세대 아파트.
집주인이 입주한다면 강화된 대출 규제가 적용 안되지만, 전세를 계획했던 집주인들은 애가 탑니다.
소유권 이전을 조건으로 세입자에게 내주던 전세 대출이 막혔기 때문입니다.
[강성배/서울 동대문구 공인중개사 : "아직 세 못 낸 분들은 우왕좌왕하는 거죠. 한마디로. 자금이 모자라니까 월세로 전환할 수도 없고…."]
입주를 넉 달가량 앞두고 막바지 공사 중인 이 아파트는 더 비상입니다.
대부분 전세 계약이 체결 안된 상태인데, 집주인들이 대출 없이 들어올 세입자를 구하기 힘든겁니다.
[김 모 씨/서울 동대문구 공인중개사 : "(세입자들은) '주인이 전부 다 (잔금을) 완제하는 전세나 월세 없어요?' 이렇게 묻죠. 그런 물건은 또 별로 없는 상황이죠."]
불붙은 서울 부동산 시장은 일단 숨고르기에 들어갔습니다.
갭투자가 차단된 데다 오늘(1일)부터 시행된 3단계 스트레스 DSR로 대출 한도가 더 줄어든 영향도 있습니다.
[오석종/서울 성동구 공인중개사 : "다시 한번 자금 여력이 되는지 살펴봐야 하는 부분이 있어서 계약에는 당연히 영향을 미치죠."]
다만 이런 '대출 조이기'로 수요를 억제하는 효과는 최대 반년을 넘기기 어려울 거란 분석도 있습니다.
실제 지난 2019년 15억 원 초과 아파트의 주담대 금지 효과가 단 6개월에 그쳤고, 이후 풍선효과를 불러왔다는 겁니다.
[김은선/직방 빅데이터랩장 : "금융을 통한 수요 억제에 집중이 되어 있기 때문에 최근에 이제 입주 물량 감소라든지 정비 사업 지연 등과 같은 공급 쪽에서 나오는 불확실성에 대한 보완이 (필요합니다)."]
대출 규제의 후속조치인 주택 공급대책이 속도감 있게 나와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KBS 뉴스 이지은입니다.
촬영기자:황종원/영상편집:김인수/그래픽:김경진
-
-
이지은 기자 written@kbs.co.kr
이지은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