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빼고 수출 부진…1~20일 수출 2.4%↓
입력 2025.05.21 (09:40)
수정 2025.05.21 (14:0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번 달 1~20일 수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4% 줄었습니다.
반도체를 제외한 대부분의 주요 품목 수출이 부진한 영향입니다.
관세청은 오늘(20일) 5월 1~20일 수출입 현황을 발표하고, 이 기간 우리 수출은 320억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4% 감소했다고 밝혔습니다.
지난 1월부터 연간 누계 수출액은 2,498억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9% 마이너스입니다.
품목별로는 10대 주요 수출 품목 가운데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수출액이 증가한 건 반도체와 선박뿐이었습니다.
반도체는 73억 달러로 17.3% 증가해 전체 수출 가운데 비중이 22.7%로 나타났고, 선박은 12억 달러로 0.1% 증가했습니다.
미국의 관세 부과 대상이 된 품목을 중심으로 대부분 품목이 지난해보다 수출이 줄었습니다.
미국 수출 비중이 큰 승용차는 31억 달러로 6.3% 줄어들었고, 자동차 부품도 10.7% 수출이 줄었습니다.
석유제품도 24.1%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국가별로는 타이완으로의 수출이 17억 달러로 지난해보다 28.2% 증가한 가운데, 베트남과 홍콩도 각각 3%와 4.5% 수출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대미국 수출액은 관세 부과 여파로 자동차 등 수출이 줄며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4.6% 감소한 53억 달러였습니다.
중국은 7.2%, 유럽연합도 2.7% 지난해보다 수출액이 줄었습니다.
같은 기간 수입은 322억 달러로 같은 기간보다 2.5%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이에 따라 무역 수지는 3억 달러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반도체를 제외한 대부분의 주요 품목 수출이 부진한 영향입니다.
관세청은 오늘(20일) 5월 1~20일 수출입 현황을 발표하고, 이 기간 우리 수출은 320억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4% 감소했다고 밝혔습니다.
지난 1월부터 연간 누계 수출액은 2,498억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9% 마이너스입니다.
품목별로는 10대 주요 수출 품목 가운데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수출액이 증가한 건 반도체와 선박뿐이었습니다.
반도체는 73억 달러로 17.3% 증가해 전체 수출 가운데 비중이 22.7%로 나타났고, 선박은 12억 달러로 0.1% 증가했습니다.
미국의 관세 부과 대상이 된 품목을 중심으로 대부분 품목이 지난해보다 수출이 줄었습니다.
미국 수출 비중이 큰 승용차는 31억 달러로 6.3% 줄어들었고, 자동차 부품도 10.7% 수출이 줄었습니다.
석유제품도 24.1%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국가별로는 타이완으로의 수출이 17억 달러로 지난해보다 28.2% 증가한 가운데, 베트남과 홍콩도 각각 3%와 4.5% 수출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대미국 수출액은 관세 부과 여파로 자동차 등 수출이 줄며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4.6% 감소한 53억 달러였습니다.
중국은 7.2%, 유럽연합도 2.7% 지난해보다 수출액이 줄었습니다.
같은 기간 수입은 322억 달러로 같은 기간보다 2.5%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이에 따라 무역 수지는 3억 달러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반도체 빼고 수출 부진…1~20일 수출 2.4%↓
-
- 입력 2025-05-21 09:40:49
- 수정2025-05-21 14:04:00

이번 달 1~20일 수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4% 줄었습니다.
반도체를 제외한 대부분의 주요 품목 수출이 부진한 영향입니다.
관세청은 오늘(20일) 5월 1~20일 수출입 현황을 발표하고, 이 기간 우리 수출은 320억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4% 감소했다고 밝혔습니다.
지난 1월부터 연간 누계 수출액은 2,498억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9% 마이너스입니다.
품목별로는 10대 주요 수출 품목 가운데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수출액이 증가한 건 반도체와 선박뿐이었습니다.
반도체는 73억 달러로 17.3% 증가해 전체 수출 가운데 비중이 22.7%로 나타났고, 선박은 12억 달러로 0.1% 증가했습니다.
미국의 관세 부과 대상이 된 품목을 중심으로 대부분 품목이 지난해보다 수출이 줄었습니다.
미국 수출 비중이 큰 승용차는 31억 달러로 6.3% 줄어들었고, 자동차 부품도 10.7% 수출이 줄었습니다.
석유제품도 24.1%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국가별로는 타이완으로의 수출이 17억 달러로 지난해보다 28.2% 증가한 가운데, 베트남과 홍콩도 각각 3%와 4.5% 수출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대미국 수출액은 관세 부과 여파로 자동차 등 수출이 줄며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4.6% 감소한 53억 달러였습니다.
중국은 7.2%, 유럽연합도 2.7% 지난해보다 수출액이 줄었습니다.
같은 기간 수입은 322억 달러로 같은 기간보다 2.5%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이에 따라 무역 수지는 3억 달러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반도체를 제외한 대부분의 주요 품목 수출이 부진한 영향입니다.
관세청은 오늘(20일) 5월 1~20일 수출입 현황을 발표하고, 이 기간 우리 수출은 320억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4% 감소했다고 밝혔습니다.
지난 1월부터 연간 누계 수출액은 2,498억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9% 마이너스입니다.
품목별로는 10대 주요 수출 품목 가운데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수출액이 증가한 건 반도체와 선박뿐이었습니다.
반도체는 73억 달러로 17.3% 증가해 전체 수출 가운데 비중이 22.7%로 나타났고, 선박은 12억 달러로 0.1% 증가했습니다.
미국의 관세 부과 대상이 된 품목을 중심으로 대부분 품목이 지난해보다 수출이 줄었습니다.
미국 수출 비중이 큰 승용차는 31억 달러로 6.3% 줄어들었고, 자동차 부품도 10.7% 수출이 줄었습니다.
석유제품도 24.1%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국가별로는 타이완으로의 수출이 17억 달러로 지난해보다 28.2% 증가한 가운데, 베트남과 홍콩도 각각 3%와 4.5% 수출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대미국 수출액은 관세 부과 여파로 자동차 등 수출이 줄며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4.6% 감소한 53억 달러였습니다.
중국은 7.2%, 유럽연합도 2.7% 지난해보다 수출액이 줄었습니다.
같은 기간 수입은 322억 달러로 같은 기간보다 2.5%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이에 따라 무역 수지는 3억 달러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김지숙 기자 vox@kbs.co.kr
김지숙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