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 일손 해소 외국인’…숙소·운영 해법 시급

입력 2025.05.19 (19:28) 수정 2025.05.19 (20:1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노령화로 부족한 농촌 인력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외국인 공공형 계절근로제가 도입됐습니다.

하지만, 외국인들의 숙소가 부족하고, 체류기간이 짧아 운영되는 지역이 몇 곳에 불과합니다.

배수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한창 생육기에 접어든 양파밭에서 잡초 제거 작업이 한창입니다.

3만 3천 제곱미터 규모 양파 농사를 짓는데 가장 큰 문제는 일손을 확보하는 일.

공공형 계절근로자로 지원받은 외국인이 큰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박오영/양파재배 농민 : "국내 노동자 구하기는 굉장히 힘들고요. 그것은 거의 있을 수 없는 일이고, 그리고 개인적으로 외국인 노동자를 (고용)하려면 숙박시설 자체도 어렵고…."]

농촌의 인력 부족이 심각하지만, 이 같은 공공형 계절 근로제를 시행하는 지역은 경남에서 함양과 거창 두 곳뿐입니다.

적어도 90일 동안 외국인 근로자가 머물 숙소가 부족한 게 가장 큰 걸림돌.

함양군은 문을 닫은 숙박시설을 개조해 외국인 근로자 숙소 문제를 해결했습니다.

[박미경/함양군 농업지원담당 : "계절 근로자가 들어오는 데 있어서 숙박시설이 제일 애로사항이 있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저희가 난관을 해결하고자 공공형 계절근로자 기숙사를 짓게 됐고요."]

또, 외국인들이 원하는 근로기간과 정부가 허용하는 체류 기한이 맞지 않는 것도 문제입니다.

외국인들은 왕복 항공료 등을 감안해 대부분 5개월 이상의 일감을 원하지만, 농가는 농번기 2~3개월만 일손이 필요하기 때문.

함양군은 사과 주산지인 전북 무주군·장수군과 업무협약을 맺어, 외국인 근로자와 농가의 요구를 충족시켰습니다.

[정영재/함양군조합공동사업법인 대표 : "품목이 다른 지역, 무주·장수와 MOU(양해각서)를 해서 서로 다른 품목 간에 성수기 인력을 교환한 겁니다."]

정부는 내년부터 공공형 계절근로자 숙소를 농협이 소유할 수 있도록 하고, 체류 기간 상한도 연장할 방침입니다.

KBS 뉴스 배수영입니다.

촬영기자:최현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농촌 일손 해소 외국인’…숙소·운영 해법 시급
    • 입력 2025-05-19 19:28:42
    • 수정2025-05-19 20:17:59
    뉴스7(창원)
[앵커]

노령화로 부족한 농촌 인력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외국인 공공형 계절근로제가 도입됐습니다.

하지만, 외국인들의 숙소가 부족하고, 체류기간이 짧아 운영되는 지역이 몇 곳에 불과합니다.

배수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한창 생육기에 접어든 양파밭에서 잡초 제거 작업이 한창입니다.

3만 3천 제곱미터 규모 양파 농사를 짓는데 가장 큰 문제는 일손을 확보하는 일.

공공형 계절근로자로 지원받은 외국인이 큰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박오영/양파재배 농민 : "국내 노동자 구하기는 굉장히 힘들고요. 그것은 거의 있을 수 없는 일이고, 그리고 개인적으로 외국인 노동자를 (고용)하려면 숙박시설 자체도 어렵고…."]

농촌의 인력 부족이 심각하지만, 이 같은 공공형 계절 근로제를 시행하는 지역은 경남에서 함양과 거창 두 곳뿐입니다.

적어도 90일 동안 외국인 근로자가 머물 숙소가 부족한 게 가장 큰 걸림돌.

함양군은 문을 닫은 숙박시설을 개조해 외국인 근로자 숙소 문제를 해결했습니다.

[박미경/함양군 농업지원담당 : "계절 근로자가 들어오는 데 있어서 숙박시설이 제일 애로사항이 있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저희가 난관을 해결하고자 공공형 계절근로자 기숙사를 짓게 됐고요."]

또, 외국인들이 원하는 근로기간과 정부가 허용하는 체류 기한이 맞지 않는 것도 문제입니다.

외국인들은 왕복 항공료 등을 감안해 대부분 5개월 이상의 일감을 원하지만, 농가는 농번기 2~3개월만 일손이 필요하기 때문.

함양군은 사과 주산지인 전북 무주군·장수군과 업무협약을 맺어, 외국인 근로자와 농가의 요구를 충족시켰습니다.

[정영재/함양군조합공동사업법인 대표 : "품목이 다른 지역, 무주·장수와 MOU(양해각서)를 해서 서로 다른 품목 간에 성수기 인력을 교환한 겁니다."]

정부는 내년부터 공공형 계절근로자 숙소를 농협이 소유할 수 있도록 하고, 체류 기간 상한도 연장할 방침입니다.

KBS 뉴스 배수영입니다.

촬영기자:최현진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창원-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대선특집페이지 대선특집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