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앞장선 ‘가족 친화’ 정책…민간 확산 어떻게?

입력 2025.05.09 (21:39) 수정 2025.05.09 (22:1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저출생 연속 기획 보도입니다.

정부와 지자체가 내부 직원들을 대상으로 여러 가족 친화 정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임신한 직원에게 주 1회 재택근무를 의무화한 정부 부처도 있는데요.

이런 흐름이 민간 영역으로도 확산할 수 있을지가 주목됩니다.

김우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임신 8개월 차인 여성 공무원이 일과 시간에 거실에서 업무를 보고 있습니다.

임신부에게 주 1회 재택근무가 의무화되면서, 만삭의 직장인이 마주했던 어려움이 한결 줄었습니다.

[모화/인사혁신처 공무원 : "회사에서는 사실 몸이 갑자기 안 좋아지면 제가 휴게실을 직접 찾아가서 쉬어야 하는 측면이 있는데 그런 거에 구애받지 않고…."]

인사혁신처가 이 제도를 도입한 건 올해 2월부터.

정부 부처 가운데 처음입니다.

[연원정/인사혁신처장 : "임신 공무원 11명 전원이 재택근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고요. 매우 만족도도 높습니다."]

지자체들도 내부 직원들을 대상으로 각종 가족 친화 정책을 앞다퉈 시행하고 있습니다.

2살 이하 자녀를 둔 청주시청 공무원은 주 1회 재택근무가 보장됩니다.

[임은강/청주시청 공무원/1살 자녀 양육 : "아이도 아빠랑 시간을 많이 보낼 수 있으니까 확실히 전보다 더 많이 밝아졌고."]

충청북도를 포함해 충청남도, 전라북도도 비슷한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곳 대전시도 지난해 8월부터 주 1회 재택근무, 그러니까 주 4일제 출근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민간 기업의 유연 근무 활용률이 평균 15%에 불과한 상황에서, 관이 주도해서 출산율을 높이기 위한 가족 친화 정책을 확산시키겠다는 취지입니다.

공무원들이 직접 경험해 보니 해결해야 할 과제도 피부로 느끼게 됩니다.

[강지윤/대전시청 공무원 : "업무 특성상 이제 타 기관이나 다른 부서랑 협업이 많고 출장도 잦다 보니까 조금 쉽지는 않아요."]

정부와 지자체가 앞장서 시행한 가족 친화 정책이 업무 성과로 입증되느냐가 민간 영역 확산의 관건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김우준입니다.

촬영기자:심규일 최승원/영상편집:이현모/그래픽:고석훈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정부가 앞장선 ‘가족 친화’ 정책…민간 확산 어떻게?
    • 입력 2025-05-09 21:39:38
    • 수정2025-05-09 22:17:47
    뉴스 9
[앵커]

저출생 연속 기획 보도입니다.

정부와 지자체가 내부 직원들을 대상으로 여러 가족 친화 정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임신한 직원에게 주 1회 재택근무를 의무화한 정부 부처도 있는데요.

이런 흐름이 민간 영역으로도 확산할 수 있을지가 주목됩니다.

김우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임신 8개월 차인 여성 공무원이 일과 시간에 거실에서 업무를 보고 있습니다.

임신부에게 주 1회 재택근무가 의무화되면서, 만삭의 직장인이 마주했던 어려움이 한결 줄었습니다.

[모화/인사혁신처 공무원 : "회사에서는 사실 몸이 갑자기 안 좋아지면 제가 휴게실을 직접 찾아가서 쉬어야 하는 측면이 있는데 그런 거에 구애받지 않고…."]

인사혁신처가 이 제도를 도입한 건 올해 2월부터.

정부 부처 가운데 처음입니다.

[연원정/인사혁신처장 : "임신 공무원 11명 전원이 재택근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고요. 매우 만족도도 높습니다."]

지자체들도 내부 직원들을 대상으로 각종 가족 친화 정책을 앞다퉈 시행하고 있습니다.

2살 이하 자녀를 둔 청주시청 공무원은 주 1회 재택근무가 보장됩니다.

[임은강/청주시청 공무원/1살 자녀 양육 : "아이도 아빠랑 시간을 많이 보낼 수 있으니까 확실히 전보다 더 많이 밝아졌고."]

충청북도를 포함해 충청남도, 전라북도도 비슷한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곳 대전시도 지난해 8월부터 주 1회 재택근무, 그러니까 주 4일제 출근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민간 기업의 유연 근무 활용률이 평균 15%에 불과한 상황에서, 관이 주도해서 출산율을 높이기 위한 가족 친화 정책을 확산시키겠다는 취지입니다.

공무원들이 직접 경험해 보니 해결해야 할 과제도 피부로 느끼게 됩니다.

[강지윤/대전시청 공무원 : "업무 특성상 이제 타 기관이나 다른 부서랑 협업이 많고 출장도 잦다 보니까 조금 쉽지는 않아요."]

정부와 지자체가 앞장서 시행한 가족 친화 정책이 업무 성과로 입증되느냐가 민간 영역 확산의 관건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김우준입니다.

촬영기자:심규일 최승원/영상편집:이현모/그래픽:고석훈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