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 상승 남의 일”…도쿄 외곽 낡은 집은 해체 걱정

입력 2025.05.07 (19:30) 수정 2025.05.07 (22:2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일본 도쿄는 신축 선호 분위기 속에 해외 투자금까지 유입되면서, 아파트 가격이 계속 오르고 있습니다.

반면, 도쿄 외곽의 오래된 아파트는 수십 년째 가격이 그대로인데, 재건축을 하기도 어려워 골칫거리가 되고 있습니다.

도쿄, 황진우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분양 중인 도쿄 북부의 한 신축 아파트입니다.

거실과 방 2개가 있는 도쿄의 흔한 아파트 구조로, 전체 면적은 40제곱미터에 불과합니다.

그래도 분양가는 6천만엔, 한국 돈으로 5억 8천만 원 정도입니다.

[호소다 마미/분양회사 담당자 : "면적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줄이면서 접근 가능한 가격의 아파트로 만들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토지와 건축비 인상 탓에 신축 분양가가 높게 형성되고 엔저로 해외자금까지 몰리면서 도쿄의 집값은 연일 상승세입니다.

부동산업체의 조사 결과, 도쿄 23구의 지난 3월 70제곱미터 아파트 평균 가격은 한 달 전보다 4% 오르며 11개월 연속 상승했습니다.

반면, 도쿄 외곽의 오래된 아파트 가격은 그대로입니다.

지은 지 50년 된 이 아파트는 잘 팔리지도 않고, 팔아 봐야, 값이 오른 다른 아파트로 이사 갈 수 없습니다.

재건축을 해보려 해도. 집값만큼의 추가 비용이 필요합니다.

결국, 소유주들은 아파트 해체 비용부터 적립하기로 했습니다.

후손들에게 떠넘기듯 낡은 아파트를 남길 수는 없어서입니다.

[시노하라 미츠루/입주자 대표 : "차라리 미래 세대를 위해서라도 뭐라도 남겨주자는 얘기가 나왔고, 그래서 해체 비용을 미리 적립하자는 방향으로 이야기가 흘러간 거죠."]

신축 선호 현상 속에 도쿄 집값 상승세는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한데, 부동산 시장 양극화는 한국에게도 시사점을 주고 있습니다.

도쿄에서 KBS 뉴스 황진우입니다.

촬영:안병욱/영상편집:김대범/자료조사:김린아 권애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집값 상승 남의 일”…도쿄 외곽 낡은 집은 해체 걱정
    • 입력 2025-05-07 19:30:29
    • 수정2025-05-07 22:21:17
    뉴스 7
[앵커]

일본 도쿄는 신축 선호 분위기 속에 해외 투자금까지 유입되면서, 아파트 가격이 계속 오르고 있습니다.

반면, 도쿄 외곽의 오래된 아파트는 수십 년째 가격이 그대로인데, 재건축을 하기도 어려워 골칫거리가 되고 있습니다.

도쿄, 황진우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분양 중인 도쿄 북부의 한 신축 아파트입니다.

거실과 방 2개가 있는 도쿄의 흔한 아파트 구조로, 전체 면적은 40제곱미터에 불과합니다.

그래도 분양가는 6천만엔, 한국 돈으로 5억 8천만 원 정도입니다.

[호소다 마미/분양회사 담당자 : "면적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줄이면서 접근 가능한 가격의 아파트로 만들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토지와 건축비 인상 탓에 신축 분양가가 높게 형성되고 엔저로 해외자금까지 몰리면서 도쿄의 집값은 연일 상승세입니다.

부동산업체의 조사 결과, 도쿄 23구의 지난 3월 70제곱미터 아파트 평균 가격은 한 달 전보다 4% 오르며 11개월 연속 상승했습니다.

반면, 도쿄 외곽의 오래된 아파트 가격은 그대로입니다.

지은 지 50년 된 이 아파트는 잘 팔리지도 않고, 팔아 봐야, 값이 오른 다른 아파트로 이사 갈 수 없습니다.

재건축을 해보려 해도. 집값만큼의 추가 비용이 필요합니다.

결국, 소유주들은 아파트 해체 비용부터 적립하기로 했습니다.

후손들에게 떠넘기듯 낡은 아파트를 남길 수는 없어서입니다.

[시노하라 미츠루/입주자 대표 : "차라리 미래 세대를 위해서라도 뭐라도 남겨주자는 얘기가 나왔고, 그래서 해체 비용을 미리 적립하자는 방향으로 이야기가 흘러간 거죠."]

신축 선호 현상 속에 도쿄 집값 상승세는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한데, 부동산 시장 양극화는 한국에게도 시사점을 주고 있습니다.

도쿄에서 KBS 뉴스 황진우입니다.

촬영:안병욱/영상편집:김대범/자료조사:김린아 권애림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