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난 약자 대피 ‘효과’…제도화가 관건
입력 2025.04.25 (21:43)
수정 2025.04.25 (22:0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현행 소방 법규만으로는 각종 '피난 약자' 시설에서 실제, 대피 때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은데요,
그래서 부산시와 소방이 건물 설계 때부터 피난 약자 대피 공간을 마련하는 등 제도 개선에 나섰습니다.
강성원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요양병원 등 이른바, 자력 대피가 힘든 이들이 머무는 '피난 약자' 시설은 부산지역에만 모두 345곳.
불이 나면 대형 인명피해로 이어지기 쉽습니다.
부산의 한 요양시설 예정지입니다.
불이 났을 때, 피난 약자들이 위·아래층으로 힘들게 대피하는 게 아니라 층별 수평 대피할 수 있게 설계됐습니다.
부산시 소방재난본부의 권고에 따라 층마다 방화문이나 벽으로 구획을 나눠 화재구역 환자들을 비화재구역으로 신속하게 수평 이동시킨다는 겁니다.
[경남수/소방시설 설계 업체 이사 : "피난계단을 이용하거나 자력으로 피난하기 어렵기 때문에 수평으로 반대 공간으로 피난할 수 있는 그런 개념을…."]
부산지역에서는 이곳 현장을 포함해 모두 2곳에서 부산시 소방재난본부의 가이드라인을 적용한 설계가 이뤄지고 있습니다.
전·후 설계를 비교한 결과, 가이드라인 적용 후 설계의 피난 안전성이 훨씬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에 따라 부산시와 소방재난본부는 지역 건축사와 공무원을 대상으로 권고안 준수를 독려하고 있습니다.
[김태진/부산소방재난본부 소방제도계장 : "화재구역에서는 화재 진압, 비화재구역에서는 인명구조에 집중할 수 있어 소방대의 원활한 소방 활동이 가능할 것으로…."]
부산시와 소방재난본부는 국토부와 협의를 통해 건축법상 수평 방화구역 설치 등 제도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강성원입니다.
촬영기자:윤동욱/그래픽:김희나
현행 소방 법규만으로는 각종 '피난 약자' 시설에서 실제, 대피 때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은데요,
그래서 부산시와 소방이 건물 설계 때부터 피난 약자 대피 공간을 마련하는 등 제도 개선에 나섰습니다.
강성원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요양병원 등 이른바, 자력 대피가 힘든 이들이 머무는 '피난 약자' 시설은 부산지역에만 모두 345곳.
불이 나면 대형 인명피해로 이어지기 쉽습니다.
부산의 한 요양시설 예정지입니다.
불이 났을 때, 피난 약자들이 위·아래층으로 힘들게 대피하는 게 아니라 층별 수평 대피할 수 있게 설계됐습니다.
부산시 소방재난본부의 권고에 따라 층마다 방화문이나 벽으로 구획을 나눠 화재구역 환자들을 비화재구역으로 신속하게 수평 이동시킨다는 겁니다.
[경남수/소방시설 설계 업체 이사 : "피난계단을 이용하거나 자력으로 피난하기 어렵기 때문에 수평으로 반대 공간으로 피난할 수 있는 그런 개념을…."]
부산지역에서는 이곳 현장을 포함해 모두 2곳에서 부산시 소방재난본부의 가이드라인을 적용한 설계가 이뤄지고 있습니다.
전·후 설계를 비교한 결과, 가이드라인 적용 후 설계의 피난 안전성이 훨씬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에 따라 부산시와 소방재난본부는 지역 건축사와 공무원을 대상으로 권고안 준수를 독려하고 있습니다.
[김태진/부산소방재난본부 소방제도계장 : "화재구역에서는 화재 진압, 비화재구역에서는 인명구조에 집중할 수 있어 소방대의 원활한 소방 활동이 가능할 것으로…."]
부산시와 소방재난본부는 국토부와 협의를 통해 건축법상 수평 방화구역 설치 등 제도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강성원입니다.
촬영기자:윤동욱/그래픽:김희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피난 약자 대피 ‘효과’…제도화가 관건
-
- 입력 2025-04-25 21:43:59
- 수정2025-04-25 22:07:33

[앵커]
현행 소방 법규만으로는 각종 '피난 약자' 시설에서 실제, 대피 때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은데요,
그래서 부산시와 소방이 건물 설계 때부터 피난 약자 대피 공간을 마련하는 등 제도 개선에 나섰습니다.
강성원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요양병원 등 이른바, 자력 대피가 힘든 이들이 머무는 '피난 약자' 시설은 부산지역에만 모두 345곳.
불이 나면 대형 인명피해로 이어지기 쉽습니다.
부산의 한 요양시설 예정지입니다.
불이 났을 때, 피난 약자들이 위·아래층으로 힘들게 대피하는 게 아니라 층별 수평 대피할 수 있게 설계됐습니다.
부산시 소방재난본부의 권고에 따라 층마다 방화문이나 벽으로 구획을 나눠 화재구역 환자들을 비화재구역으로 신속하게 수평 이동시킨다는 겁니다.
[경남수/소방시설 설계 업체 이사 : "피난계단을 이용하거나 자력으로 피난하기 어렵기 때문에 수평으로 반대 공간으로 피난할 수 있는 그런 개념을…."]
부산지역에서는 이곳 현장을 포함해 모두 2곳에서 부산시 소방재난본부의 가이드라인을 적용한 설계가 이뤄지고 있습니다.
전·후 설계를 비교한 결과, 가이드라인 적용 후 설계의 피난 안전성이 훨씬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에 따라 부산시와 소방재난본부는 지역 건축사와 공무원을 대상으로 권고안 준수를 독려하고 있습니다.
[김태진/부산소방재난본부 소방제도계장 : "화재구역에서는 화재 진압, 비화재구역에서는 인명구조에 집중할 수 있어 소방대의 원활한 소방 활동이 가능할 것으로…."]
부산시와 소방재난본부는 국토부와 협의를 통해 건축법상 수평 방화구역 설치 등 제도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강성원입니다.
촬영기자:윤동욱/그래픽:김희나
현행 소방 법규만으로는 각종 '피난 약자' 시설에서 실제, 대피 때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은데요,
그래서 부산시와 소방이 건물 설계 때부터 피난 약자 대피 공간을 마련하는 등 제도 개선에 나섰습니다.
강성원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요양병원 등 이른바, 자력 대피가 힘든 이들이 머무는 '피난 약자' 시설은 부산지역에만 모두 345곳.
불이 나면 대형 인명피해로 이어지기 쉽습니다.
부산의 한 요양시설 예정지입니다.
불이 났을 때, 피난 약자들이 위·아래층으로 힘들게 대피하는 게 아니라 층별 수평 대피할 수 있게 설계됐습니다.
부산시 소방재난본부의 권고에 따라 층마다 방화문이나 벽으로 구획을 나눠 화재구역 환자들을 비화재구역으로 신속하게 수평 이동시킨다는 겁니다.
[경남수/소방시설 설계 업체 이사 : "피난계단을 이용하거나 자력으로 피난하기 어렵기 때문에 수평으로 반대 공간으로 피난할 수 있는 그런 개념을…."]
부산지역에서는 이곳 현장을 포함해 모두 2곳에서 부산시 소방재난본부의 가이드라인을 적용한 설계가 이뤄지고 있습니다.
전·후 설계를 비교한 결과, 가이드라인 적용 후 설계의 피난 안전성이 훨씬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에 따라 부산시와 소방재난본부는 지역 건축사와 공무원을 대상으로 권고안 준수를 독려하고 있습니다.
[김태진/부산소방재난본부 소방제도계장 : "화재구역에서는 화재 진압, 비화재구역에서는 인명구조에 집중할 수 있어 소방대의 원활한 소방 활동이 가능할 것으로…."]
부산시와 소방재난본부는 국토부와 협의를 통해 건축법상 수평 방화구역 설치 등 제도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강성원입니다.
촬영기자:윤동욱/그래픽:김희나
-
-
강성원 기자 kangsw@kbs.co.kr
강성원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