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TP를 요즘 누가 쓰냐고? 저희는 아직 필요해요!

입력 2025.04.21 (06:25) 수정 2025.04.21 (07:5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어제(20일)는 장애인의 날이었습니다.

장애인과 금융에 대해 생각해 보신 적 있으신가요?

저축하고, 투자하고, 보험 들고…

장애인도 금융 생활은 필수지만, 금융 현장은 장애인의 권익 얼마나 챙기고 있을까요?

황현규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비장애인에겐 익숙해진 모바일 뱅킹.

하지만, 시각장애인 전용 앱은 없습니다.

[김훈/시각장애인 : "앱 접근성이 되지 않아서 지금도 텔레뱅킹을 이용하는 경우가 대다수입니다."]

텔레뱅킹을 하려면 일회용 비밀번호 생성기, OTP가 필수.

장애인 전용 OTP가 있긴 하지만, 성능이 크게 떨어집니다.

["인증 번호는 0974."]

[강창식/시각장애인/2022년 7월/KBS '사랑의 가족' : "볼륨 조절도 안 되고 그다음에 속도 조절도 안 돼요."]

음량과 배터리를 개선한 신형 OTP가 12년 만에 나왔습니다.

["6487."]

[김훈/시각장애인 : "음량 조절 버튼이 생겨가지고요. 정말 좋게 개선되었습니다."]

주식 거래에도 차별은 남아 있습니다.

시각장애인은 전화 매매가 불가피한데, 증권사 10곳 중 4곳이 모바일 거래보다 수수료를 더 받습니다.

보험은 장애인 할인 제도가 있지만, 유명무실합니다.

보장성 보험에 가입한 뒤, 장애인 전환을 신청하면, 보험료의 3%를 세액공제로 돌려줍니다.

2019년 시작됐는데, 홍보는 부족하고 이용률 통계도 없습니다.

[김홍엽/시각장애인 : "(장애인 보험 전환 제도도 이야기가 나왔는데?) 솔직히 저는 오늘 처음 들어봤습니다."]

발달장애인 등은 보이스피싱 같은 금융 범죄에도 취약합니다.

은행 앱에서 비대면 계좌 안심 차단을 신청해 두면, 본인도 모르게 비대면 계좌가 개설되는걸 미리 막을 수 있습니다.

문제는 장애인을 위한 홍보는 전혀 없다는 점입니다.

[전지혜/인천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 "장애인들이 접근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는 건 사실이에요. 직원분들도 잘 모르는 경우가 많고요."]

점자나 음성으로 된 금융 상품 계약 서류도 이제 표준안이 마련돼, 보급까진 갈 길이 멉니다.

KBS 뉴스 황현규입니다.

촬영기자:김철호/영상편집:한찬의/그래픽:이호영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OTP를 요즘 누가 쓰냐고? 저희는 아직 필요해요!
    • 입력 2025-04-21 06:25:22
    • 수정2025-04-21 07:54:45
    뉴스광장 1부
[앵커]

어제(20일)는 장애인의 날이었습니다.

장애인과 금융에 대해 생각해 보신 적 있으신가요?

저축하고, 투자하고, 보험 들고…

장애인도 금융 생활은 필수지만, 금융 현장은 장애인의 권익 얼마나 챙기고 있을까요?

황현규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비장애인에겐 익숙해진 모바일 뱅킹.

하지만, 시각장애인 전용 앱은 없습니다.

[김훈/시각장애인 : "앱 접근성이 되지 않아서 지금도 텔레뱅킹을 이용하는 경우가 대다수입니다."]

텔레뱅킹을 하려면 일회용 비밀번호 생성기, OTP가 필수.

장애인 전용 OTP가 있긴 하지만, 성능이 크게 떨어집니다.

["인증 번호는 0974."]

[강창식/시각장애인/2022년 7월/KBS '사랑의 가족' : "볼륨 조절도 안 되고 그다음에 속도 조절도 안 돼요."]

음량과 배터리를 개선한 신형 OTP가 12년 만에 나왔습니다.

["6487."]

[김훈/시각장애인 : "음량 조절 버튼이 생겨가지고요. 정말 좋게 개선되었습니다."]

주식 거래에도 차별은 남아 있습니다.

시각장애인은 전화 매매가 불가피한데, 증권사 10곳 중 4곳이 모바일 거래보다 수수료를 더 받습니다.

보험은 장애인 할인 제도가 있지만, 유명무실합니다.

보장성 보험에 가입한 뒤, 장애인 전환을 신청하면, 보험료의 3%를 세액공제로 돌려줍니다.

2019년 시작됐는데, 홍보는 부족하고 이용률 통계도 없습니다.

[김홍엽/시각장애인 : "(장애인 보험 전환 제도도 이야기가 나왔는데?) 솔직히 저는 오늘 처음 들어봤습니다."]

발달장애인 등은 보이스피싱 같은 금융 범죄에도 취약합니다.

은행 앱에서 비대면 계좌 안심 차단을 신청해 두면, 본인도 모르게 비대면 계좌가 개설되는걸 미리 막을 수 있습니다.

문제는 장애인을 위한 홍보는 전혀 없다는 점입니다.

[전지혜/인천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 "장애인들이 접근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는 건 사실이에요. 직원분들도 잘 모르는 경우가 많고요."]

점자나 음성으로 된 금융 상품 계약 서류도 이제 표준안이 마련돼, 보급까진 갈 길이 멉니다.

KBS 뉴스 황현규입니다.

촬영기자:김철호/영상편집:한찬의/그래픽:이호영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