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 불탔는데…위약금 내라는 통신사
입력 2025.03.31 (19:04)
수정 2025.03.31 (19:4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번 산불로 집을 잃고 겨우 몸만 빠져나온 주민들이 많은데요.
불탄 집에 설치된 인터넷이나 정수기를 해지하려고 하니 일부 업체들이 위약금을 요구해, 이재민들이 또 한 번 속앓이를 하고 있습니다.
강나루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안동 산불이 확산하던 지난 25일.
["불똥 떨어진다 이제. 가야 되겠다. 불똥, 불똥… 가야 돼, 가야 돼."]
산봉우리 사이 위치한 이 마을도 큰 피해를 입었습니다.
산불이 휩쓸고 간 주택입니다.
보시는 것처럼 유리 창문은 이렇게 산산조각 나있고, 거대한 철판도 엿가락처럼 휘어진 상태입니다.
불길을 피해 대피했던 피해 주민은 인터넷을 해지하려고 통신사에 전화했다가 뜻밖의 얘기를 들었습니다.
일시 정지가 아닌 계약 해지를 하고 싶으면, 위약금을 물어야 한다는 겁니다.
[이지혜/산불 피해 주민 가족 : "어디 오갈 곳도 없는데 언제까지 정지만 해놓고 있을 수는 없잖아요. 그래서 해지를 하려고 하는 건데..."]
해당 통신사 약관에는 재난 피해를 볼 경우 할인 반환금, 즉 위약금 없이 인터넷을 해지할 수 있다고 쓰여 있습니다.
2년 전 경북 예천 수해 이후 이런 내용이 약관에 포함됐지만, 현장에서 안내가 제대로 안 되고 있는 겁니다.
정수기 대여 서비스를 해지하려던 다른 피해 지역 주민도 위약금 안내를 받았습니다.
[정수기 업체 상담 직원/음성변조 : "특별재난 지역에 대해서 따로 공지가 온 거는 없어서 이런 경우에 그냥 분실 해지로 접수를 해야 된다고 하시네요."]
[정수기 해지 요구 주민/음성변조 : "지금 숟가락, 젓가락 하나도 안 들고 밖에 나와서 있는 상황인데 거기에 대놓고 (위약금) 100만 원을…"]
일부 업체들의 무책임한 대응에, 삶의 터전을 잃은 주민들은 또 한번 고통받고 있습니다.
KBS 뉴스 강나루입니다.
촬영기자:송상엽/영상편집:김유진
이번 산불로 집을 잃고 겨우 몸만 빠져나온 주민들이 많은데요.
불탄 집에 설치된 인터넷이나 정수기를 해지하려고 하니 일부 업체들이 위약금을 요구해, 이재민들이 또 한 번 속앓이를 하고 있습니다.
강나루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안동 산불이 확산하던 지난 25일.
["불똥 떨어진다 이제. 가야 되겠다. 불똥, 불똥… 가야 돼, 가야 돼."]
산봉우리 사이 위치한 이 마을도 큰 피해를 입었습니다.
산불이 휩쓸고 간 주택입니다.
보시는 것처럼 유리 창문은 이렇게 산산조각 나있고, 거대한 철판도 엿가락처럼 휘어진 상태입니다.
불길을 피해 대피했던 피해 주민은 인터넷을 해지하려고 통신사에 전화했다가 뜻밖의 얘기를 들었습니다.
일시 정지가 아닌 계약 해지를 하고 싶으면, 위약금을 물어야 한다는 겁니다.
[이지혜/산불 피해 주민 가족 : "어디 오갈 곳도 없는데 언제까지 정지만 해놓고 있을 수는 없잖아요. 그래서 해지를 하려고 하는 건데..."]
해당 통신사 약관에는 재난 피해를 볼 경우 할인 반환금, 즉 위약금 없이 인터넷을 해지할 수 있다고 쓰여 있습니다.
2년 전 경북 예천 수해 이후 이런 내용이 약관에 포함됐지만, 현장에서 안내가 제대로 안 되고 있는 겁니다.
정수기 대여 서비스를 해지하려던 다른 피해 지역 주민도 위약금 안내를 받았습니다.
[정수기 업체 상담 직원/음성변조 : "특별재난 지역에 대해서 따로 공지가 온 거는 없어서 이런 경우에 그냥 분실 해지로 접수를 해야 된다고 하시네요."]
[정수기 해지 요구 주민/음성변조 : "지금 숟가락, 젓가락 하나도 안 들고 밖에 나와서 있는 상황인데 거기에 대놓고 (위약금) 100만 원을…"]
일부 업체들의 무책임한 대응에, 삶의 터전을 잃은 주민들은 또 한번 고통받고 있습니다.
KBS 뉴스 강나루입니다.
촬영기자:송상엽/영상편집:김유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집 불탔는데…위약금 내라는 통신사
-
- 입력 2025-03-31 19:04:21
- 수정2025-03-31 19:41:52

[앵커]
이번 산불로 집을 잃고 겨우 몸만 빠져나온 주민들이 많은데요.
불탄 집에 설치된 인터넷이나 정수기를 해지하려고 하니 일부 업체들이 위약금을 요구해, 이재민들이 또 한 번 속앓이를 하고 있습니다.
강나루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안동 산불이 확산하던 지난 25일.
["불똥 떨어진다 이제. 가야 되겠다. 불똥, 불똥… 가야 돼, 가야 돼."]
산봉우리 사이 위치한 이 마을도 큰 피해를 입었습니다.
산불이 휩쓸고 간 주택입니다.
보시는 것처럼 유리 창문은 이렇게 산산조각 나있고, 거대한 철판도 엿가락처럼 휘어진 상태입니다.
불길을 피해 대피했던 피해 주민은 인터넷을 해지하려고 통신사에 전화했다가 뜻밖의 얘기를 들었습니다.
일시 정지가 아닌 계약 해지를 하고 싶으면, 위약금을 물어야 한다는 겁니다.
[이지혜/산불 피해 주민 가족 : "어디 오갈 곳도 없는데 언제까지 정지만 해놓고 있을 수는 없잖아요. 그래서 해지를 하려고 하는 건데..."]
해당 통신사 약관에는 재난 피해를 볼 경우 할인 반환금, 즉 위약금 없이 인터넷을 해지할 수 있다고 쓰여 있습니다.
2년 전 경북 예천 수해 이후 이런 내용이 약관에 포함됐지만, 현장에서 안내가 제대로 안 되고 있는 겁니다.
정수기 대여 서비스를 해지하려던 다른 피해 지역 주민도 위약금 안내를 받았습니다.
[정수기 업체 상담 직원/음성변조 : "특별재난 지역에 대해서 따로 공지가 온 거는 없어서 이런 경우에 그냥 분실 해지로 접수를 해야 된다고 하시네요."]
[정수기 해지 요구 주민/음성변조 : "지금 숟가락, 젓가락 하나도 안 들고 밖에 나와서 있는 상황인데 거기에 대놓고 (위약금) 100만 원을…"]
일부 업체들의 무책임한 대응에, 삶의 터전을 잃은 주민들은 또 한번 고통받고 있습니다.
KBS 뉴스 강나루입니다.
촬영기자:송상엽/영상편집:김유진
이번 산불로 집을 잃고 겨우 몸만 빠져나온 주민들이 많은데요.
불탄 집에 설치된 인터넷이나 정수기를 해지하려고 하니 일부 업체들이 위약금을 요구해, 이재민들이 또 한 번 속앓이를 하고 있습니다.
강나루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안동 산불이 확산하던 지난 25일.
["불똥 떨어진다 이제. 가야 되겠다. 불똥, 불똥… 가야 돼, 가야 돼."]
산봉우리 사이 위치한 이 마을도 큰 피해를 입었습니다.
산불이 휩쓸고 간 주택입니다.
보시는 것처럼 유리 창문은 이렇게 산산조각 나있고, 거대한 철판도 엿가락처럼 휘어진 상태입니다.
불길을 피해 대피했던 피해 주민은 인터넷을 해지하려고 통신사에 전화했다가 뜻밖의 얘기를 들었습니다.
일시 정지가 아닌 계약 해지를 하고 싶으면, 위약금을 물어야 한다는 겁니다.
[이지혜/산불 피해 주민 가족 : "어디 오갈 곳도 없는데 언제까지 정지만 해놓고 있을 수는 없잖아요. 그래서 해지를 하려고 하는 건데..."]
해당 통신사 약관에는 재난 피해를 볼 경우 할인 반환금, 즉 위약금 없이 인터넷을 해지할 수 있다고 쓰여 있습니다.
2년 전 경북 예천 수해 이후 이런 내용이 약관에 포함됐지만, 현장에서 안내가 제대로 안 되고 있는 겁니다.
정수기 대여 서비스를 해지하려던 다른 피해 지역 주민도 위약금 안내를 받았습니다.
[정수기 업체 상담 직원/음성변조 : "특별재난 지역에 대해서 따로 공지가 온 거는 없어서 이런 경우에 그냥 분실 해지로 접수를 해야 된다고 하시네요."]
[정수기 해지 요구 주민/음성변조 : "지금 숟가락, 젓가락 하나도 안 들고 밖에 나와서 있는 상황인데 거기에 대놓고 (위약금) 100만 원을…"]
일부 업체들의 무책임한 대응에, 삶의 터전을 잃은 주민들은 또 한번 고통받고 있습니다.
KBS 뉴스 강나루입니다.
촬영기자:송상엽/영상편집:김유진
-
-
강나루 기자 naru@kbs.co.kr
강나루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영남권 최악의 산불…재난사태 선포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