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후진술 앞둔 윤 대통령…이 시각 헌법재판소
입력 2025.02.25 (21:00)
수정 2025.02.25 (22:4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최종 변론이 헌법재판소에서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제, 윤 대통령의 최후 진술만 남아 있는 상태입니다.
헌법재판소로 가겠습니다.
김태훈 기자! 곧 윤 대통령 진술이 시작될텐데, 어떤 메시지를 낼 걸로 예상됩니까?
[기자]
네, 현재 변론은 잠시 휴정했고 9시 5분 속개돼 윤석열 대통령의 최후 변론이 시작될 예정입니다.
그동안 비상계엄 선포의 정당성을 주장해 온 윤 대통령은 최후 진술을 통해서도 계엄 선포의 정당성과 불가피성을 강조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윤 대통령의 최후 진술에서는 비상계엄에 대한 입장과 함께, 어떠한 대국민 메시지가 나올지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이날 변론기일은 오후 2시에 시작했지만, 윤 대통령은 오후 4시 30분이 조금 넘어서야 호송차를 타고 헌법재판소에 도착했습니다.
오늘(25일) 변론에서 윤 대통령은 자신의 최후진술 때까지 심판정에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앵커]
김 기자, 국회 쪽에선 정청래 법사위원장이 최후 진술을 했죠.
어떤 내용이 나왔습니까?
[기자]
네, 정청래 국회 탄핵소추위원은 조금 전인 8시 5분 경 부터 최후 의견진술을 통해 윤 대통령이 파면돼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정 위원은 "전국민이 생중계를 통해 국회를 침탈하는 계엄군의 폭력행위를 지켜봤다"면서 "윤 대통령을 파면해야할 충분조건은 이미 성립됐다"면서 의견진술을 시작했습니다.
이어 "대한민국의 국민 모두가 생각이 다 같을 수는 없지만, 내 생각과 다른 것과 틀린 것은 구별해야 한다"면서 "정치적 견해가 다르다고 혐오하거나 탄압해서는 안 되고, 더군다가 권력을 악용해 상대방을 탄압하고 제거하거나 수거 대상으로 삼아서는 안된다"고 말했습니다.
특히 계엄 당일, 전시 사변이나 이에 준하는 비상상황이 없던 평온한 날이었다면서, 이미 절차적으로도 계엄선포는 위헌위법이라고 했습니다.
설령 합법적 계엄이라 할지라도 국회에 어떠한 조치를 해서는 안 된다며, 국회에 대한 군 병력 투입은 '질서 유지'가 아닌 침탈행위라고 했습니다.
KBS 뉴스 김태훈입니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최종 변론이 헌법재판소에서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제, 윤 대통령의 최후 진술만 남아 있는 상태입니다.
헌법재판소로 가겠습니다.
김태훈 기자! 곧 윤 대통령 진술이 시작될텐데, 어떤 메시지를 낼 걸로 예상됩니까?
[기자]
네, 현재 변론은 잠시 휴정했고 9시 5분 속개돼 윤석열 대통령의 최후 변론이 시작될 예정입니다.
그동안 비상계엄 선포의 정당성을 주장해 온 윤 대통령은 최후 진술을 통해서도 계엄 선포의 정당성과 불가피성을 강조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윤 대통령의 최후 진술에서는 비상계엄에 대한 입장과 함께, 어떠한 대국민 메시지가 나올지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이날 변론기일은 오후 2시에 시작했지만, 윤 대통령은 오후 4시 30분이 조금 넘어서야 호송차를 타고 헌법재판소에 도착했습니다.
오늘(25일) 변론에서 윤 대통령은 자신의 최후진술 때까지 심판정에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앵커]
김 기자, 국회 쪽에선 정청래 법사위원장이 최후 진술을 했죠.
어떤 내용이 나왔습니까?
[기자]
네, 정청래 국회 탄핵소추위원은 조금 전인 8시 5분 경 부터 최후 의견진술을 통해 윤 대통령이 파면돼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정 위원은 "전국민이 생중계를 통해 국회를 침탈하는 계엄군의 폭력행위를 지켜봤다"면서 "윤 대통령을 파면해야할 충분조건은 이미 성립됐다"면서 의견진술을 시작했습니다.
이어 "대한민국의 국민 모두가 생각이 다 같을 수는 없지만, 내 생각과 다른 것과 틀린 것은 구별해야 한다"면서 "정치적 견해가 다르다고 혐오하거나 탄압해서는 안 되고, 더군다가 권력을 악용해 상대방을 탄압하고 제거하거나 수거 대상으로 삼아서는 안된다"고 말했습니다.
특히 계엄 당일, 전시 사변이나 이에 준하는 비상상황이 없던 평온한 날이었다면서, 이미 절차적으로도 계엄선포는 위헌위법이라고 했습니다.
설령 합법적 계엄이라 할지라도 국회에 어떠한 조치를 해서는 안 된다며, 국회에 대한 군 병력 투입은 '질서 유지'가 아닌 침탈행위라고 했습니다.
KBS 뉴스 김태훈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최후진술 앞둔 윤 대통령…이 시각 헌법재판소
-
- 입력 2025-02-25 21:00:31
- 수정2025-02-25 22:40:09

[앵커]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최종 변론이 헌법재판소에서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제, 윤 대통령의 최후 진술만 남아 있는 상태입니다.
헌법재판소로 가겠습니다.
김태훈 기자! 곧 윤 대통령 진술이 시작될텐데, 어떤 메시지를 낼 걸로 예상됩니까?
[기자]
네, 현재 변론은 잠시 휴정했고 9시 5분 속개돼 윤석열 대통령의 최후 변론이 시작될 예정입니다.
그동안 비상계엄 선포의 정당성을 주장해 온 윤 대통령은 최후 진술을 통해서도 계엄 선포의 정당성과 불가피성을 강조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윤 대통령의 최후 진술에서는 비상계엄에 대한 입장과 함께, 어떠한 대국민 메시지가 나올지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이날 변론기일은 오후 2시에 시작했지만, 윤 대통령은 오후 4시 30분이 조금 넘어서야 호송차를 타고 헌법재판소에 도착했습니다.
오늘(25일) 변론에서 윤 대통령은 자신의 최후진술 때까지 심판정에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앵커]
김 기자, 국회 쪽에선 정청래 법사위원장이 최후 진술을 했죠.
어떤 내용이 나왔습니까?
[기자]
네, 정청래 국회 탄핵소추위원은 조금 전인 8시 5분 경 부터 최후 의견진술을 통해 윤 대통령이 파면돼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정 위원은 "전국민이 생중계를 통해 국회를 침탈하는 계엄군의 폭력행위를 지켜봤다"면서 "윤 대통령을 파면해야할 충분조건은 이미 성립됐다"면서 의견진술을 시작했습니다.
이어 "대한민국의 국민 모두가 생각이 다 같을 수는 없지만, 내 생각과 다른 것과 틀린 것은 구별해야 한다"면서 "정치적 견해가 다르다고 혐오하거나 탄압해서는 안 되고, 더군다가 권력을 악용해 상대방을 탄압하고 제거하거나 수거 대상으로 삼아서는 안된다"고 말했습니다.
특히 계엄 당일, 전시 사변이나 이에 준하는 비상상황이 없던 평온한 날이었다면서, 이미 절차적으로도 계엄선포는 위헌위법이라고 했습니다.
설령 합법적 계엄이라 할지라도 국회에 어떠한 조치를 해서는 안 된다며, 국회에 대한 군 병력 투입은 '질서 유지'가 아닌 침탈행위라고 했습니다.
KBS 뉴스 김태훈입니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최종 변론이 헌법재판소에서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제, 윤 대통령의 최후 진술만 남아 있는 상태입니다.
헌법재판소로 가겠습니다.
김태훈 기자! 곧 윤 대통령 진술이 시작될텐데, 어떤 메시지를 낼 걸로 예상됩니까?
[기자]
네, 현재 변론은 잠시 휴정했고 9시 5분 속개돼 윤석열 대통령의 최후 변론이 시작될 예정입니다.
그동안 비상계엄 선포의 정당성을 주장해 온 윤 대통령은 최후 진술을 통해서도 계엄 선포의 정당성과 불가피성을 강조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윤 대통령의 최후 진술에서는 비상계엄에 대한 입장과 함께, 어떠한 대국민 메시지가 나올지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이날 변론기일은 오후 2시에 시작했지만, 윤 대통령은 오후 4시 30분이 조금 넘어서야 호송차를 타고 헌법재판소에 도착했습니다.
오늘(25일) 변론에서 윤 대통령은 자신의 최후진술 때까지 심판정에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앵커]
김 기자, 국회 쪽에선 정청래 법사위원장이 최후 진술을 했죠.
어떤 내용이 나왔습니까?
[기자]
네, 정청래 국회 탄핵소추위원은 조금 전인 8시 5분 경 부터 최후 의견진술을 통해 윤 대통령이 파면돼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정 위원은 "전국민이 생중계를 통해 국회를 침탈하는 계엄군의 폭력행위를 지켜봤다"면서 "윤 대통령을 파면해야할 충분조건은 이미 성립됐다"면서 의견진술을 시작했습니다.
이어 "대한민국의 국민 모두가 생각이 다 같을 수는 없지만, 내 생각과 다른 것과 틀린 것은 구별해야 한다"면서 "정치적 견해가 다르다고 혐오하거나 탄압해서는 안 되고, 더군다가 권력을 악용해 상대방을 탄압하고 제거하거나 수거 대상으로 삼아서는 안된다"고 말했습니다.
특히 계엄 당일, 전시 사변이나 이에 준하는 비상상황이 없던 평온한 날이었다면서, 이미 절차적으로도 계엄선포는 위헌위법이라고 했습니다.
설령 합법적 계엄이라 할지라도 국회에 어떠한 조치를 해서는 안 된다며, 국회에 대한 군 병력 투입은 '질서 유지'가 아닌 침탈행위라고 했습니다.
KBS 뉴스 김태훈입니다.
-
-
김태훈 기자 abc@kbs.co.kr
김태훈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윤석열 대통령 구속기소…헌정 최초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