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생 살해 교사 수사 본격화…제2의 하늘이 없으려면?
입력 2025.02.12 (23:11)
수정 2025.02.12 (23:1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앞서 보신 것처럼 가장 안전해야 할 공간인 학교에서, 초등학생이 숨진 이번 사건에 국민 모두가 충격에 휩싸였습니다.
학교는 왜 하늘이를 지키지 못했을까요?
오윤성 순천향대 경찰행정학과 교수와 자세히 짚어보겠습니다.
[앵커]
경찰이 전담수사팀을 구성하고 수사를 시작했는데, 우선 어떤 부분을 중점적으로 밝혀야 합니까?
[앵커]
현재까지 드러난 살인 동기는 가해 교사가 수업에 배제돼 짜증이 나 범행을 저질렀다는 거죠?
[앵커]
언뜻 들으면 '우발적 살인'이다 이렇게 들리는데, 유족은 계획범죄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어떤 정황 때문에 그렇습니까?
[앵커]
가해 교사는 우울증 때문에 병가 휴직을 신청했었는데 재판 과정에서 심신미약을 주장할 가능성, 어떻게 보십니까?
[앵커]
이번 참변은 막을 수 있었던 기회가 여러차례 있었다는 지적까지 나옵니다.
어떤 전조들이 있었고, 학교와 교육청은 제대로 대처했습니까?
[앵커]
복직 과정을 놓고도 논란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당초 6개월 정도 안정이 필요하단 진단서가 3주 만에, 그것도 같은 병원에서 '근무 가능'으로 바뀐 건데요, 여기에 대해서도 경찰이 지금 들여다보고 있죠?
[앵커]
문제가 심각한 교원을 학교에서 분리할 수 있는 제도로 '질환교원 심의위원회'가 있는데 왜 열리지 않은 겁니까?
[앵커]
교육당국과 정치권이 나서 제2의 하늘이, 또 다른 비극을 막고자 대책들을 내놓고 있죠.
어떤 대책이 보완돼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앵커]
오늘 말씀은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앞서 보신 것처럼 가장 안전해야 할 공간인 학교에서, 초등학생이 숨진 이번 사건에 국민 모두가 충격에 휩싸였습니다.
학교는 왜 하늘이를 지키지 못했을까요?
오윤성 순천향대 경찰행정학과 교수와 자세히 짚어보겠습니다.
[앵커]
경찰이 전담수사팀을 구성하고 수사를 시작했는데, 우선 어떤 부분을 중점적으로 밝혀야 합니까?
[앵커]
현재까지 드러난 살인 동기는 가해 교사가 수업에 배제돼 짜증이 나 범행을 저질렀다는 거죠?
[앵커]
언뜻 들으면 '우발적 살인'이다 이렇게 들리는데, 유족은 계획범죄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어떤 정황 때문에 그렇습니까?
[앵커]
가해 교사는 우울증 때문에 병가 휴직을 신청했었는데 재판 과정에서 심신미약을 주장할 가능성, 어떻게 보십니까?
[앵커]
이번 참변은 막을 수 있었던 기회가 여러차례 있었다는 지적까지 나옵니다.
어떤 전조들이 있었고, 학교와 교육청은 제대로 대처했습니까?
[앵커]
복직 과정을 놓고도 논란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당초 6개월 정도 안정이 필요하단 진단서가 3주 만에, 그것도 같은 병원에서 '근무 가능'으로 바뀐 건데요, 여기에 대해서도 경찰이 지금 들여다보고 있죠?
[앵커]
문제가 심각한 교원을 학교에서 분리할 수 있는 제도로 '질환교원 심의위원회'가 있는데 왜 열리지 않은 겁니까?
[앵커]
교육당국과 정치권이 나서 제2의 하늘이, 또 다른 비극을 막고자 대책들을 내놓고 있죠.
어떤 대책이 보완돼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앵커]
오늘 말씀은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초등생 살해 교사 수사 본격화…제2의 하늘이 없으려면?
-
- 입력 2025-02-12 23:11:52
- 수정2025-02-12 23:17:17
![](/data/news/title_image/newsmp4/newsline/2025/02/12/50_8174599.jpg)
[앵커]
앞서 보신 것처럼 가장 안전해야 할 공간인 학교에서, 초등학생이 숨진 이번 사건에 국민 모두가 충격에 휩싸였습니다.
학교는 왜 하늘이를 지키지 못했을까요?
오윤성 순천향대 경찰행정학과 교수와 자세히 짚어보겠습니다.
[앵커]
경찰이 전담수사팀을 구성하고 수사를 시작했는데, 우선 어떤 부분을 중점적으로 밝혀야 합니까?
[앵커]
현재까지 드러난 살인 동기는 가해 교사가 수업에 배제돼 짜증이 나 범행을 저질렀다는 거죠?
[앵커]
언뜻 들으면 '우발적 살인'이다 이렇게 들리는데, 유족은 계획범죄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어떤 정황 때문에 그렇습니까?
[앵커]
가해 교사는 우울증 때문에 병가 휴직을 신청했었는데 재판 과정에서 심신미약을 주장할 가능성, 어떻게 보십니까?
[앵커]
이번 참변은 막을 수 있었던 기회가 여러차례 있었다는 지적까지 나옵니다.
어떤 전조들이 있었고, 학교와 교육청은 제대로 대처했습니까?
[앵커]
복직 과정을 놓고도 논란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당초 6개월 정도 안정이 필요하단 진단서가 3주 만에, 그것도 같은 병원에서 '근무 가능'으로 바뀐 건데요, 여기에 대해서도 경찰이 지금 들여다보고 있죠?
[앵커]
문제가 심각한 교원을 학교에서 분리할 수 있는 제도로 '질환교원 심의위원회'가 있는데 왜 열리지 않은 겁니까?
[앵커]
교육당국과 정치권이 나서 제2의 하늘이, 또 다른 비극을 막고자 대책들을 내놓고 있죠.
어떤 대책이 보완돼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앵커]
오늘 말씀은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앞서 보신 것처럼 가장 안전해야 할 공간인 학교에서, 초등학생이 숨진 이번 사건에 국민 모두가 충격에 휩싸였습니다.
학교는 왜 하늘이를 지키지 못했을까요?
오윤성 순천향대 경찰행정학과 교수와 자세히 짚어보겠습니다.
[앵커]
경찰이 전담수사팀을 구성하고 수사를 시작했는데, 우선 어떤 부분을 중점적으로 밝혀야 합니까?
[앵커]
현재까지 드러난 살인 동기는 가해 교사가 수업에 배제돼 짜증이 나 범행을 저질렀다는 거죠?
[앵커]
언뜻 들으면 '우발적 살인'이다 이렇게 들리는데, 유족은 계획범죄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어떤 정황 때문에 그렇습니까?
[앵커]
가해 교사는 우울증 때문에 병가 휴직을 신청했었는데 재판 과정에서 심신미약을 주장할 가능성, 어떻게 보십니까?
[앵커]
이번 참변은 막을 수 있었던 기회가 여러차례 있었다는 지적까지 나옵니다.
어떤 전조들이 있었고, 학교와 교육청은 제대로 대처했습니까?
[앵커]
복직 과정을 놓고도 논란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당초 6개월 정도 안정이 필요하단 진단서가 3주 만에, 그것도 같은 병원에서 '근무 가능'으로 바뀐 건데요, 여기에 대해서도 경찰이 지금 들여다보고 있죠?
[앵커]
문제가 심각한 교원을 학교에서 분리할 수 있는 제도로 '질환교원 심의위원회'가 있는데 왜 열리지 않은 겁니까?
[앵커]
교육당국과 정치권이 나서 제2의 하늘이, 또 다른 비극을 막고자 대책들을 내놓고 있죠.
어떤 대책이 보완돼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앵커]
오늘 말씀은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