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워달랬더니 주먹질”…끊이지 않는 구급대원 폭행

입력 2025.02.06 (21:49) 수정 2025.02.06 (21:5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응급 현장에선 구급대원들이 폭행을 당하는 일이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최근에도 현장에 출동한 구급대원이 구급차에 탄 남성에게 폭행을 당해 코뼈가 부러지는 중상을 입었는데요.

매년 2백 건 안팎의 구급대원 폭행 사건이 벌어지고 있지만, 처벌로 이어지는 경우는 많지 않습니다.

이유진 기잡니다.

[리포트]

수갑을 찬 30대 남성이 경찰과 함께 구급차에 앉아 있습니다.

구급대원이 침상에 누워 달라고 요청하자, 남성이 갑자기 구급대원 얼굴에 주먹을 휘두릅니다.

깜짝 놀라 이를 제지하는 경찰관에게도 수갑을 찬 주먹을 휘두릅니다.

남성의 난동은 2분여 동안 계속됐고, 얼굴을 맞은 구급대원은 코뼈가 골절됐습니다.

[폭행 피해 구급대원 : "처음에는 맞은 줄도 몰랐죠. 천둥 같은 게 번쩍하더니 이제 정신 차려보니까 코를 맞은 상태여서 그때부터 좀 통증이 많이 느껴지더라고요."]

응급 현장에 출동한 구급대원들이 폭행을 당하는 건 비일비재합니다.

[최보석/홍천119 안전센터 소방교 : "(고속도로에서) 화장실이 가고 싶다고 당장 멈추라고 하면서 몸부림을 심하게 치면서 위협적인 행동을 하는 경우도 있었고요. 상황 설명을 하다가 흥분을 하면서 저희의 어깨를 밀치거나…."]

실제로 최근 5년 동안 발생한 구급대원 폭행 사건은 1,100건이 넘습니다.

한 해 평균 230여 건에 달합니다.

비좁은 구급차에 폭력으로부터 피할 공간이 없고 CCTV와 112 신고 장치가 있지만 당장의 폭행을 막기는 역부족입니다.

이곳이 환자 이송 시 구급대원이 앉는 곳인데요.

환자와의 거리가 매우 가까워 폭력을 휘두른다면 그대로 휘말릴 수밖에 없습니다.

구급대원을 폭행하면 5년 이하 징역이나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지지만 2023년 폭행 사건 240여 건 가운데 처벌이 이뤄진 건 17%에 그쳤습니다.

KBS 뉴스 이유진입니다.

촬영기자:김남범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누워달랬더니 주먹질”…끊이지 않는 구급대원 폭행
    • 입력 2025-02-06 21:49:16
    • 수정2025-02-06 21:56:39
    뉴스 9
[앵커]

응급 현장에선 구급대원들이 폭행을 당하는 일이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최근에도 현장에 출동한 구급대원이 구급차에 탄 남성에게 폭행을 당해 코뼈가 부러지는 중상을 입었는데요.

매년 2백 건 안팎의 구급대원 폭행 사건이 벌어지고 있지만, 처벌로 이어지는 경우는 많지 않습니다.

이유진 기잡니다.

[리포트]

수갑을 찬 30대 남성이 경찰과 함께 구급차에 앉아 있습니다.

구급대원이 침상에 누워 달라고 요청하자, 남성이 갑자기 구급대원 얼굴에 주먹을 휘두릅니다.

깜짝 놀라 이를 제지하는 경찰관에게도 수갑을 찬 주먹을 휘두릅니다.

남성의 난동은 2분여 동안 계속됐고, 얼굴을 맞은 구급대원은 코뼈가 골절됐습니다.

[폭행 피해 구급대원 : "처음에는 맞은 줄도 몰랐죠. 천둥 같은 게 번쩍하더니 이제 정신 차려보니까 코를 맞은 상태여서 그때부터 좀 통증이 많이 느껴지더라고요."]

응급 현장에 출동한 구급대원들이 폭행을 당하는 건 비일비재합니다.

[최보석/홍천119 안전센터 소방교 : "(고속도로에서) 화장실이 가고 싶다고 당장 멈추라고 하면서 몸부림을 심하게 치면서 위협적인 행동을 하는 경우도 있었고요. 상황 설명을 하다가 흥분을 하면서 저희의 어깨를 밀치거나…."]

실제로 최근 5년 동안 발생한 구급대원 폭행 사건은 1,100건이 넘습니다.

한 해 평균 230여 건에 달합니다.

비좁은 구급차에 폭력으로부터 피할 공간이 없고 CCTV와 112 신고 장치가 있지만 당장의 폭행을 막기는 역부족입니다.

이곳이 환자 이송 시 구급대원이 앉는 곳인데요.

환자와의 거리가 매우 가까워 폭력을 휘두른다면 그대로 휘말릴 수밖에 없습니다.

구급대원을 폭행하면 5년 이하 징역이나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지지만 2023년 폭행 사건 240여 건 가운데 처벌이 이뤄진 건 17%에 그쳤습니다.

KBS 뉴스 이유진입니다.

촬영기자:김남범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