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 ‘만 원 주택’ 첫선…청년 정착 마중물 되나?

입력 2025.02.06 (19:20) 수정 2025.02.06 (20:0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요즘은 밖에서 밥 한 끼를 사 먹어도 해도 만 원을 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데 전북에서 단돈 만 원에 빌려주는 주택이 첫선을 보였습니다.

전주시가 청년 유출을 막기 위해 긴급 처방을 내놓은 겁니다.

김현주 기자입니다.

[리포트]

간호학과에 다니는 23살 대학생 윤수빈 씨.

최근 병원 실습을 나가게 돼 자취할 방을 찾고 있습니다.

하지만 적어도 수 백만 원에 달하는 보증금에 달마다 내야 하는 월세까지, 학생이 부담하기에는 금액이 커 걱정이 앞섭니다.

[윤수빈/전주대학교 3학년 : "보증금 5백만 원에 월세 50만 원 이렇게 해서, 조금 부담스럽잖아요. 둘이 같이 살기에도…."]

최근 전주시는 대학가를 중심으로 '청춘 별채'. 이른바 '만 원 주택' 사업을 시작했습니다.

대학생 등 청년 주거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한 달, 만 원에 주택을 임대하는 사업입니다.

보증금은 50만 원이고, '원룸'부터 '투룸', '스리룸'까지 방 개수에 따라 만 원씩 임대료를 내면 됩니다.

최대 10년까지 살 수 있고 입주 뒤 결혼할 경우 20년까지 거주가 가능하며, 세탁기와 냉장고, 에어컨 등도 설치해 줍니다.

신청 자격은 40살 미만 무주택 미혼 청년으로 공공주택 입주자 소득과 자산 기준을 충족해야 합니다.

[우범기/전주시장 : "월 임대료 만 원이라는 금액은 경제적 수치를 넘어 민생 안정을 최우선으로 하는 전주시의 확고한 의지이며, 청년들의 새로운 미래를 품어낼 희망의 마중물입니다."]

전주시는 올해 안에 만 원 주택 82가구를 우선 공급하고 오는 2028년까지 모두 2백10가구까지 물량을 늘릴 계획입니다.

지난 5년간 전북을 떠난 청년은 4만 9천여 명.

전북에서 첫선을 보인 '만 원 주택'이, 청년 정착을 유도하는 마중물이 될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김현주입니다.

촬영기자:정성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전주시, ‘만 원 주택’ 첫선…청년 정착 마중물 되나?
    • 입력 2025-02-06 19:20:36
    • 수정2025-02-06 20:05:35
    뉴스7(전주)
[앵커]

요즘은 밖에서 밥 한 끼를 사 먹어도 해도 만 원을 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데 전북에서 단돈 만 원에 빌려주는 주택이 첫선을 보였습니다.

전주시가 청년 유출을 막기 위해 긴급 처방을 내놓은 겁니다.

김현주 기자입니다.

[리포트]

간호학과에 다니는 23살 대학생 윤수빈 씨.

최근 병원 실습을 나가게 돼 자취할 방을 찾고 있습니다.

하지만 적어도 수 백만 원에 달하는 보증금에 달마다 내야 하는 월세까지, 학생이 부담하기에는 금액이 커 걱정이 앞섭니다.

[윤수빈/전주대학교 3학년 : "보증금 5백만 원에 월세 50만 원 이렇게 해서, 조금 부담스럽잖아요. 둘이 같이 살기에도…."]

최근 전주시는 대학가를 중심으로 '청춘 별채'. 이른바 '만 원 주택' 사업을 시작했습니다.

대학생 등 청년 주거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한 달, 만 원에 주택을 임대하는 사업입니다.

보증금은 50만 원이고, '원룸'부터 '투룸', '스리룸'까지 방 개수에 따라 만 원씩 임대료를 내면 됩니다.

최대 10년까지 살 수 있고 입주 뒤 결혼할 경우 20년까지 거주가 가능하며, 세탁기와 냉장고, 에어컨 등도 설치해 줍니다.

신청 자격은 40살 미만 무주택 미혼 청년으로 공공주택 입주자 소득과 자산 기준을 충족해야 합니다.

[우범기/전주시장 : "월 임대료 만 원이라는 금액은 경제적 수치를 넘어 민생 안정을 최우선으로 하는 전주시의 확고한 의지이며, 청년들의 새로운 미래를 품어낼 희망의 마중물입니다."]

전주시는 올해 안에 만 원 주택 82가구를 우선 공급하고 오는 2028년까지 모두 2백10가구까지 물량을 늘릴 계획입니다.

지난 5년간 전북을 떠난 청년은 4만 9천여 명.

전북에서 첫선을 보인 '만 원 주택'이, 청년 정착을 유도하는 마중물이 될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김현주입니다.

촬영기자:정성수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전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