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아휴직 분할 사용 확대…가사·돌봄서비스 활성화
입력 2020.08.27 (12:42)
수정 2020.08.27 (13:0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정부가 인구구조 변화로 생기는 노동력 감소에 대응하기 위한 대책을 내놓았습니다.
육아휴직을 여러 번 나눠쓸 수 있게 하고 가사·돌봄 서비스 시장을 확대해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를 높이는 내용 등인데요.
자세한 내용 오현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정부는 오늘 제15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를 열고 '인구구조 변화 대응 방향'을 발표했습니다.
정부는 우선 여성의 육아·가사 부담을 줄여 경제활동 참여를 늘리기로 했습니다.
여성이 계속 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인구감소에 따른 노동 충격에 대응하는 취지입니다.
이를 위해 현재 1번만 나눠쓸 수 있는 육아휴직을 여러 번 나눠쓸 수 있게 하고, 육아 휴직을 임신 중에도 쓸 수 있도록 하기로 했습니다.
또, 가사근로자 법을 만들어 가사서비스 시장도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정부는 청년 디지털 일자리 6만 개를 만들고, 기업의 고령자 고용부담을 완화하기로 하는 등 청년층과 고령자 고용 대책도 마련했습니다.
외국인에 대해선 우수인재 복수국적 제도를 확대 운영하는 등의 정책을 펴기로 했습니다.
[홍남기/경제부총리 : "인구구조 변화는 생산가능인구의 감소, 잠재성장률의 하락, 부양 부담의 증가 등 경제사회 전반에 심대한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인 위험 요인으로서 국가 차원의 총력 대응 착수는 이제 선택이 아니라 필수 그리고 생존의 문제가 되었습니다."]
정부는 또 지역 공동화 대응과 농어촌 활성화, 고령자를 위한 교통환경 등 인구 감소와 고령화에 대응하는 대책도 마련했습니다.
정부는 저출산 대책은 올해 안에 따로 발표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오현태입니다.
촬영기자:양용철/영상편집:박주연
정부가 인구구조 변화로 생기는 노동력 감소에 대응하기 위한 대책을 내놓았습니다.
육아휴직을 여러 번 나눠쓸 수 있게 하고 가사·돌봄 서비스 시장을 확대해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를 높이는 내용 등인데요.
자세한 내용 오현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정부는 오늘 제15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를 열고 '인구구조 변화 대응 방향'을 발표했습니다.
정부는 우선 여성의 육아·가사 부담을 줄여 경제활동 참여를 늘리기로 했습니다.
여성이 계속 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인구감소에 따른 노동 충격에 대응하는 취지입니다.
이를 위해 현재 1번만 나눠쓸 수 있는 육아휴직을 여러 번 나눠쓸 수 있게 하고, 육아 휴직을 임신 중에도 쓸 수 있도록 하기로 했습니다.
또, 가사근로자 법을 만들어 가사서비스 시장도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정부는 청년 디지털 일자리 6만 개를 만들고, 기업의 고령자 고용부담을 완화하기로 하는 등 청년층과 고령자 고용 대책도 마련했습니다.
외국인에 대해선 우수인재 복수국적 제도를 확대 운영하는 등의 정책을 펴기로 했습니다.
[홍남기/경제부총리 : "인구구조 변화는 생산가능인구의 감소, 잠재성장률의 하락, 부양 부담의 증가 등 경제사회 전반에 심대한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인 위험 요인으로서 국가 차원의 총력 대응 착수는 이제 선택이 아니라 필수 그리고 생존의 문제가 되었습니다."]
정부는 또 지역 공동화 대응과 농어촌 활성화, 고령자를 위한 교통환경 등 인구 감소와 고령화에 대응하는 대책도 마련했습니다.
정부는 저출산 대책은 올해 안에 따로 발표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오현태입니다.
촬영기자:양용철/영상편집:박주연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육아휴직 분할 사용 확대…가사·돌봄서비스 활성화
-
- 입력 2020-08-27 12:46:28
- 수정2020-08-27 13:07:56

[앵커]
정부가 인구구조 변화로 생기는 노동력 감소에 대응하기 위한 대책을 내놓았습니다.
육아휴직을 여러 번 나눠쓸 수 있게 하고 가사·돌봄 서비스 시장을 확대해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를 높이는 내용 등인데요.
자세한 내용 오현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정부는 오늘 제15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를 열고 '인구구조 변화 대응 방향'을 발표했습니다.
정부는 우선 여성의 육아·가사 부담을 줄여 경제활동 참여를 늘리기로 했습니다.
여성이 계속 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인구감소에 따른 노동 충격에 대응하는 취지입니다.
이를 위해 현재 1번만 나눠쓸 수 있는 육아휴직을 여러 번 나눠쓸 수 있게 하고, 육아 휴직을 임신 중에도 쓸 수 있도록 하기로 했습니다.
또, 가사근로자 법을 만들어 가사서비스 시장도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정부는 청년 디지털 일자리 6만 개를 만들고, 기업의 고령자 고용부담을 완화하기로 하는 등 청년층과 고령자 고용 대책도 마련했습니다.
외국인에 대해선 우수인재 복수국적 제도를 확대 운영하는 등의 정책을 펴기로 했습니다.
[홍남기/경제부총리 : "인구구조 변화는 생산가능인구의 감소, 잠재성장률의 하락, 부양 부담의 증가 등 경제사회 전반에 심대한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인 위험 요인으로서 국가 차원의 총력 대응 착수는 이제 선택이 아니라 필수 그리고 생존의 문제가 되었습니다."]
정부는 또 지역 공동화 대응과 농어촌 활성화, 고령자를 위한 교통환경 등 인구 감소와 고령화에 대응하는 대책도 마련했습니다.
정부는 저출산 대책은 올해 안에 따로 발표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오현태입니다.
촬영기자:양용철/영상편집:박주연
정부가 인구구조 변화로 생기는 노동력 감소에 대응하기 위한 대책을 내놓았습니다.
육아휴직을 여러 번 나눠쓸 수 있게 하고 가사·돌봄 서비스 시장을 확대해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를 높이는 내용 등인데요.
자세한 내용 오현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정부는 오늘 제15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를 열고 '인구구조 변화 대응 방향'을 발표했습니다.
정부는 우선 여성의 육아·가사 부담을 줄여 경제활동 참여를 늘리기로 했습니다.
여성이 계속 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인구감소에 따른 노동 충격에 대응하는 취지입니다.
이를 위해 현재 1번만 나눠쓸 수 있는 육아휴직을 여러 번 나눠쓸 수 있게 하고, 육아 휴직을 임신 중에도 쓸 수 있도록 하기로 했습니다.
또, 가사근로자 법을 만들어 가사서비스 시장도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정부는 청년 디지털 일자리 6만 개를 만들고, 기업의 고령자 고용부담을 완화하기로 하는 등 청년층과 고령자 고용 대책도 마련했습니다.
외국인에 대해선 우수인재 복수국적 제도를 확대 운영하는 등의 정책을 펴기로 했습니다.
[홍남기/경제부총리 : "인구구조 변화는 생산가능인구의 감소, 잠재성장률의 하락, 부양 부담의 증가 등 경제사회 전반에 심대한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인 위험 요인으로서 국가 차원의 총력 대응 착수는 이제 선택이 아니라 필수 그리고 생존의 문제가 되었습니다."]
정부는 또 지역 공동화 대응과 농어촌 활성화, 고령자를 위한 교통환경 등 인구 감소와 고령화에 대응하는 대책도 마련했습니다.
정부는 저출산 대책은 올해 안에 따로 발표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오현태입니다.
촬영기자:양용철/영상편집:박주연
-
-
오현태 기자 highfive@kbs.co.kr
오현태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